english
stringlengths
0
17.5k
korean
stringlengths
0
5.4k
similarity
float64
0.12
1
from
stringclasses
5 values
__index_level_0__
int64
0
1.78M
Italy: Social Media Week in Milan and Worldwide This story was originally published on Global Voices in Italian on September 18, 2010 Social Media Week is an eclectic, multi-city, global event (Sept 20-24) aimed at connecting people, content, and conversations around emerging trends in social and mobile media. Last February edition attracted more than 7,500 attendees across 200 events in New York, Berlin, London, San Francisco, São Paulo and Toronto, while this week many simultaneous events are scheduled in Los Angeles, Bogotà, Buenos Aires, Mexico City, and Milan . Social Media Week first took place in February 2009 in New York with over 2,500 people attending across forty different events. Over 90 free events are planned in Milan alone, managed by more than 250 people including bloggers, entrepreneurs and experts. A large kick-off event is scheduled for Monday September 20 at Milan University focused on the City 2.0 about how technology, and social media in particular, can help support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ities of tomorrow. According to some estimates, more than 70% of world population will reside in an urban environment by 2050. Along with many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related to entertainment, new gadgets and platforms, fashion, entrepreneurship, and so on, the Milan program will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non-profit world, new media and citizen media. For instance, there will be presentations from Italy-based projects such as Socialidarity 2.0 (social & non-profit news) and Eticmedia (a web-TV based on Corporate Social Responsability), while a local team will offer ongoing internet workshops for the elderly. In the afternoon of Wednesday September 22 , the mediateca Santa Teresa will host a series of panels on user-generated content, particularly covering the current blog evolution and the rampant success of Twitter and Facebook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Also addressed will be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edia and the growing trend of relying mostly or only on online sources. In other words, how are social media affecting the news-gathering landscape and the information industry? Could citizen media play an even larger role in defining such environments in the future? A round-table discussion will include Global Voices in Italian , represented by Eleonora Pantò. In cities such as Buenos Aires and especially Mexico City the local participants will also address matters pertaining to education, such as an all-day event called Educación 2.0 , focusing on teacher and student partnerships using multimedia and collaborative tools in the classroom. The Los Angeles team launched a fundraising campaign supporting children in the heart of Skid Row — promoting and strengthening the direct involvement of digital citizens in the society at large. In addition to the physical events, Social Media Week organizers will also live-stream many of the events and host real time conversations at socialmediaweek.org, thus reaching a vast worldwide public. Also planned are live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in the various cities (where time zones permit). And of course there is always need for volunteers to help organize or promote events in your city for next year, to spread the word around the globe...
이탈리아: 밀라노의 국제 소셜 미디어 주간 이 기사는 2010년 9월 18일 글로벌 보이스에 이탈리아어로 먼저 게재되었습니다. '소셜 미디어 주간’ 은 각종 뉴 미디어(소셜, 모바일)안에서 일어나는 신생 트렌드와 관련한 인적 관계, 컨텐츠, 담론을 연결하는 특이한, 다국적인 행사이다. (9월 20일-24일) 지난 2월의 소셜 미디어 주간은 뉴욕, 베를린, 런던, 샌프란시스코, 상파울루, 토론토 등지에서 열린 200여가지 행사를 통해 7500명 이상의 참가자들을 끌어 모았다. 이번 소셜 미디어 주간에는 로스앤젤레스, 보고타, 부에노스아이레스, 멕시코시티 그리고 밀라노에서 여러 행사들이 동시에 열릴 예정이다. 밀라노에서만 250명이 넘는 블로거, 사업가, 전문가들이 주관하는 90가지의 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9월 20일(월) 밀라노 대학교에서 열릴 개막행사는 ‘City 2. 0: IT 기술, 소셜 미디어가 미래 도시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어떤 추정에 따르면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70% 이상이 도시 지역에 살게 된다고 한다. 밀라노 프로그램에 있을 토론과 프레젠테이션에는 엔터테인먼트, 새로운 전자기계와 플랫폼, 패션, 기업가정신 관련 이슈들뿐만 아니라 비영리 영역, 뉴미디어 그리고 시민 미디어와 관련된 이슈들도 다룰 것이다. 0(사회적 & 비영리적 뉴스)와 Eticmedia(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바탕으로 한 웹 텔레비전) 와 같이 이탈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프로젝트들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며 현지 팀은 연장자들을 위한 인터넷 워크샵을 진행할 예정이다. 9월 22일 수요일 오후에는 산타 테레사(Santa Teresa)가 UCC에 관해 토론할 여러 그룹의 패널들을 초청한다. 현재 블로그의 발달과, 트위터, 페이스 북이 정보유통에 있어서 이룬 엄청난 성과를 다룰 예정이다. 이 뿐 아니라 전통적 미디어와 최근 온라인 출처에 의존하는 새로운 트렌드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즉, 소셜 미디어가 어떤 식으로 뉴스 취재 현장과 정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시민 미디어가 그러한 환경의 윤곽을 잡는 데에 앞으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로스앤젤레스 팀이 개시한 모금활동의 목적은 사회의 밑바닥에 소외된 아이들을 후원하고자 함이며 크게는 네티즌들의 직접적 사회참여를 홍보하고 강화하는 데에 있다. 현지 행사와 더불어 소셜 미디어 주간의 행사 진행자들은 광대한 전세계의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방편으로 웹사이트(socialmediaweek. org)를 통해 여러 행사들을 생중계하는 한편 시청자들과 실시간으로 대화도 가질 예정이다. 전세계에 입 소문을 내기 위해서는 전 세계의 자원봉사자들이 내년 각 도시에서 있을 행사를 조직하고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0.864746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0
China: Feeling insecure about the mobile phone real name registration Beginning from today (September 1 2010) mobile phone users in China will have to show their identity card and register their real name when purchasing a new mobile number.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over 700 million mobile phone subscribers in China, of which 70 percent are using pre-paid SIM cards and hence anonymous users.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tressed that the new policy would help the fight against criminal and abusive use of mobile. However, according to an online survey conducted by ifeng.com, more than 80% of the opinion believes that the real name registration would not solve the existing problem, on the other hand, many netizens believe that the policy will create new problem. Zhang Lin from hc360.com explains the potential problems of the new policy:
중국: 휴대폰 실명제에 불안한 시민들 오늘 (9월 1일)부터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들은 새로운 휴대폰 번호를 받을 때 주민등록증을 보여주고 실명을 등록해야 한다. 중국에는 약 7천 만의 휴대폰 사용자가 있는데, 이 중 약 70%가 선불 핸드폰을 사용하는, 즉 익명 사용자이다. 중국 정보 통신부에서는 새로 실행 될 휴대폰 실명등록제가 핸드폰으로 인한 범죄를 줄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ifeng. com이라는 사이트에서 실행한 온라인 투표에서는 80%의 답변자가 이 실명 등록제가 지금 상황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 답했다. 많은 네티즌은 오히려 이 등록제가 새로운 문제들을 야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com의 장린은 실명등록제의 잠정적 문제점에 대해 설명했다.
0.8549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
Nigeria: Oil Wealth Flows, Hunger Persists This post was commissioned as part of a Pulitzer Center/Global Voices Online series on Food Insecurity. Since oil was discovered off Nigeria's coast in the 1970s, it has become a major source of wealth. Oil accounts for 90 percent of Nigeria's exports and over 80 percent of government revenue. Earlier this year, preparations took place in northern Nigeria for anticipated food shortages, due to severe water shortages, plummeting livestock prices and rising grain costs. On his blog, Nigerian Joachim Ibeziako Ezeji, a sustainable development professional, elaborates on those impacted by these types of shortages. Sadly, the bulk of this revenue is stolen by politicians and their cronies. The consequence is that today, according to the agriculture ministry, 91 million Nigerians representing 65 percent of the country's population are food insecure." Nigeria had a strong agricultural base before the oil boom, but throughout the years its big farms and plantations have been neglected. Journalist David Hecht, who wrote a series on the hunger crisis in Nigeria supported by the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says that about 90 percent of Nigeria's agricultural output today comes from inefficient small farms. Most farmers have little or no access to modern technology like fertilizers and irrigation. Even with these imports though, more than a quarter of Nigerians younger than 5 suffer from malnutrition. The country's oil industry, which is primarily located in the Niger Delta, has also become a source of conflict, corruption and human rights abuses. An Amnesty International report released last year examined these consequences,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fallout from the industry. The Deepwater Horizon explosion earlier this year has also drawn attention to the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oil spills, including spills in the Niger Delta. Some media report that more oil is spilled in the Niger Delta every year than has been lost in the Gulf of Mexico. These spills cause pollution that severely affects surrounding communities by decreasing fish stocks and contaminating water supplies and arable land. "For years, the state of Louisiana has permitted oil companies to have the loosest of regulation–a wink and a nod instead of enforced laws. Bloggers have proposed various solutions to this paradox, from stricter regulation of oil companies to better leadership to decreasing reliance on imported crops. Hecht, in his article series, says that even though Nigeria faces a serious food security threat, the country has enough fertile land to feed itself and much of the region if its oil wealth is invested more wisely. Afolabi Taiwo Okunola, in a post submitted for a youth essay competition on the Youngstars Foundation's blog, comes to a similar conclusion, saying that refocusing on agriculture is key: "If the Nigerian government can be dedicated and devoted to the course of agricultural, many problems like inadequate supply of food, high expenses of the food supply will become outdated. The level of unemployment among Nigerian graduates will reduce because many graduates will be gainfully employed. In this vein, agricultural produce will increase because mechanized farming will be used and Nigerian exporting earnings will increase...The quest for power, gross looting of the national treasury by the greedy politicians will reduce to a certain extent because many people will realize that it is not only oil that can give a nation money but that agriculture too is important in that aspect.
나이지리아: 석유를 따라 돈은 흘러 들어 오지만, 가난은 지속된다. 이 글은 글로벌보이스 퓰리쳐 식량안보센터에 올라온 글 이다. 글로벌보이스 퓰리쳐 식량안보센터에 올라오는 글들은 대중매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블로거들도 그 주제로 토론을 한다. 식량안보와 관련된 글은 이 사이트에 개제하면 된다. 멕시코만의 브리티위 페트롤리움 (BP: British Petroleum)석유 유출사건과 그 사후 처리 문제에 온 관심이 집중 된 가운데, 세계 다른 곳의 석유 관련 이야기에는 관심을 기울 이지 않았다. 나이지리아는 석유로 인한 마음 아픈 이야기가 나온 곳이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인 나이지리아는 세계 10대 석유 수출국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다. 1970년대 나이지리아 바다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로 석유는 나이지리아의 대표적인 돈 벌이가 되어왔다. 이 나라 수출의 90%, 정부수입의 80%의 원천이 바로 석유이다. 니제르 델타 오일 재해, 노르웨이 사회 청년 연대가 플리커 사이트에 게제함 (CC-BY-ND) 하지만 석유 수익은 경제 성장으로 연결 되지 않았고 국민 대부분의 식량 안보에도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올해 초, 나이지리아 북부에는 수 자원 고갈, 가축 가격 하락과 곡식 가격 상승으로 인한 식량난이 예측되었다. 정부는 그것을 대비하는 중이다. 나이지리아의 지속 가능한 성장 분야의 전문가 호아킴 이베지아코 에제지(Joachim Ibeziako Ezeji)은 그의 블로그에 식량난의 영향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0.738281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
China: Nobel Peace Prize Winner - Liu Xiaobo A few hours ago, the Norwegian Nobel Committee announced its decision to award the 2010 Nobel Peace Prize to Liu Xiaobo for his long and non-violent struggle for fundamental human rights in China. It is a moment of great joy for concerned Chinese citizens as Liu Xiaobo represents human rights activists' determination in struggling for the peaceful transformation of China's political system. He was arrested in June 2009 and sentenced to 11 years imprisonment under the charge of "inciting subversion of state power" after Charter 08, a proposal for constitutional reform, was published. The Jailed Nobel Peace Award Winners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in response to the Nobel Committee's decision,claimed that Liu is a criminal who has been found guilty in a Chinese court and that the Committee's decision has violated the mission of the Nobel Peace Prize. A tweet from Akiranns is probably the best response to the Chinese government spokesperson's statement:
중국: 노벨상 수상자 류 샤오보 몇 시간 전, 노르웨이의 노벨 위원회는 2010 노벨 평화상을 류샤오보에게 수여하겠다는 결정을 발표했다. 중국의 인권을 위해 비폭력 저항 운동을 계속해온 그의 노고를 기리기 위해서 이다. 류 샤오보(Liu Xiaobo)는 중국 정치의 평화적인 변화를 주장하는 인권 운동가들의 대표적 인물이다. 헌법 개정을 요구하는 제 8헌장이 발표된 후, 그는 "정권 전복을 유발한" 죄목으로 감옥에서의 11년 형을 선고받았고 2009년 6월에 구속되었다. 그걸 꼭 주목해주세요. 기자 여러분, 당신의 키보드는 당신 것입니다. 오늘을 어떻게 기록할 건가요? 미래에 오늘이 다시 기억된다면, 우린 우리 안의 빛과 그림자를 볼 수 있을 겁니다. 내가 들은 바로는 (노벨) 평화상을 탄 건 중국인이지만, 그는 (중국 공산)당 당원이 아니었다.
0.858887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
Chile: Most Mapuche Prisoners End Hunger Strike On October 2, following intense negotiations with the Chilean government, 25 Mapuche prisoners being held in jails in the cities of Concepción, Angol, Temuco and Valdivia, ended a hunger strike that lasted 82 days. Nonetheless, 14 Mapuche prisoners held and hospitalized in Angol, Victoria, Cholchol and Temuco have not yet ended the strike . "No to Military Justice." Photo by Flickr user Periódico El Ciudadano, u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0 Generic license. As previously reported by Global Voices, the 38 Mapuche demanded an end to Chile’s Anti-terror Law, a Pinochet-era decree that allowed “for the trials of civilians by military courts, as well as the presentation of 'protected' witnesses whose testimonies are heard and recorded anonymously.” Radio Tierra (Earth Radio) , a citizen radio station, reported that :
칠레: 25명 마푸체족 수감자들 단식 투쟁 중단 10월 2일, 칠레 정부와의 긴박한 협상 끝에 콘셉시온(Concepción), 앙홀(Angol), 테무코(Temuco) 와 발디비아(Valdivia) 감옥에 수감된 25명의 마푸체족(Mapuche) 수감자들이 82일의 단식 투쟁을 중단했다. 하지만 투옥해 있거나 병원에 입원한 14명의 다른 수감자들은 여전히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 Photo by Flickr user Periódico El Ciudadano, u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 글로벌 보이스는 38명 마푸체 원주민들이 칠레의 대테러법 철회를 주장한 내용을 기사로 다룬바 있다. 대테러법은 아우구스트 피노체트 전 칠레 대통령 재임 당시 제정된 법으로 민간인의 군법 회부를 허용하고, 익명의 증인을 세우는 것을 허용한다. 민간 라디오 Radio Tierra (Earth Radio) 에 따르면: 칠레 행정부는 대테러법과 관련한 모든 소송을 철회할 것이다.
0.78564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4
Mexico: The Lerma River is Dying The Lerma Santiago River (commonly known as “Rio Lerma”) is Mexico’s second longest river. At the same time, it used to be a source of drinking water for the capital and the central part of the country.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large haciendas were established along this river. Unfortunately, today this river is dying. Fatally infected by a considerable number of sources of pollution (like factories), millions of dollars have been used in efforts to revive and clean it, without many positive results. The blog agendahidalguense , quotes Mexican president Felipe Calderón when he talked about the importance of becoming a country where water clea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national agenda: In the last 16 years, the local government of Mexico state, which borders on the federal district of Mexico City, has spent 714 million dollars o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has only managed to clean up 27 percent of the 125 kilometres of the Lerma's course across the state. It is well known among local people that the river is contaminated, as there are important industries and factories in the same area (those that produce meat, dairy, beverages, pulp and paper, leather goods, petrochemical and chemical products) and throw their wastes to the river. Later in the article, Vega Villavicencio continues: There appears to be no prospect for a cessation of hostilities on the Lerma River. Environmentalists have calculated that 90 percent of its waters are contaminated, and they predict that no recovery will be possible unless strategies are changed. Jim & Carole's Mexico Adventure explains: Over many years, the Lerma has been sapped of its upstream water for agricultural purposes. It has also been the recipient of large amounts of industrial pollutants from factories along its course, as well as the runoff of agricultural chemicals. The blog Cazador de la Verdad (Hunter of the Truth) posted two videos showing the effects of pollution on the river. Consequences Lerma River pollution is costing a high price, or even an unmeasurable one, as several publications have reported that people living close to it have been physically affected. In 2007, blogger Kristan Taylor from the blog Toluca Gringa shared her personal encounters with the river: I'd smelled it before, every time I pass to go to Mexico City. It's especially foul at night, when the factories dump their deshechos into the water without blinking an eye. Thanks, Nestle. Powdered chocolate is criminal enough. Now this? I went there in the light of day recently. Within 10 minutes I felt a curious burning in the back of my throat. No joke. My eyes stung for a couple hours after I left. There's nothing in the water. Nothing alive, at least, with the exception of some mutant strain of something that can manage to survive the puss-bubble water whose surface reminded me of the last time I had a 3rd degree burn on my skin. Periódico El Sur (South Journal) published an article where it confirms that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deaths caused by cancer” because of the pollution in the Lerma River. In another journal, La Jornada from Michoacan, author Celic Mendoza wrote: In January 2008, an eight-year-old boy named Miguel Angel Lopez Rocha fell into the Santiago River near the El Salto Falls. The boy was rescued immediately, but within two days, he had fallen ill. Nineteen days later, he was dead. One medical report said the cause of death was septicemia, a general term for a septic infection of the blood. Another autopsy indicated heavy metal poisoning; arsenic in Miguel Angel’s blood was 10 times the fatal dose. The boy’s death caused a shock and brought revived attention to one of Mexico’s worst environmental disasters. But humans are not the only ones affected by this, as La Jornada reports in another article: He took us, my other and three other ladies, aside on the other bush. This testimony from a survivors explain why she feels compelled to remember and provide her testimony: They could not do anything to defend those who couldn't defend themselves." The commemoration in Amohoro (Peace) Stadium were followed by 20,000 people in a calm and uplifting atmosphere. Sara Strawczynski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Walk to Remember in the streets of Kigali: The church at Nyamata is filled with the clothes of all 10,000 people who died there – thousands and thousands of shirts, dresses, socks and trousers piled on church pews. They start to blur into one after a while – just a muddy pile of tatty clothes, pulled from a mass grave where the murderers tried to cover up what they had done. Many are marking something they know from memory; others are remembering the loss of family, even if they were abroad and did not face genocide themselves. But this is not my memory. Without a doubt, I will spend the better part of today thinking of my friends who are survivors, and thinking of the family they lost who, through my friends' stories, feel almost like people I knew, too. Perhaps I will mark some part of the day with those friends. Perhaps not. There is often discussion among the mzungus here of whether it's intrusive of us to go to these programs, or on the other hand whether it's disrespectful not to. I don't think there's a rule.
멕시코: 레르마 강이 죽어간다 (주로 “리오 레르마 강”이라고 불리는) 레르마 산티아고 강 은 멕시코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17세기와 18세기 동안, 거대한 대농장들 또한 이 강을 따라 세워졌다. 하지만 오늘날, 이 강은 죽어가고 있다. 공장과 같은 수많은 오염물질 배출원으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된 강을 살리기 위해 몇 천만 달러가 들어갔지만, 긍정적인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블로그 agendahidalguense 에서 인용한 멕시코의 대통령 펠리페 칼데론 의 수질 정화가 국정의 주요 과제인 나라가 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한 연설이다: ISP news website에 실린 패트리시아 베가 빌라비센시오의 기사 "죽어가는 강을 위한 기금은 없다" 에 따르면, 엄청난 양의 돈이 강을 정화하는 데에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성과는 매우 적다. 최근 16년동안, 멕시코 시티의 경계에 위치한 멕시코 주 정부는 폐수처리장에 7억 1천 4백만 달러를 썼지만 주를 가로지르는 125킬로미터의 레르마 강의 27%만을 정화하는 데에 그쳤습니다. 근처에 육제품, 유제품, 양주류, 펄프와 제지 산업, 가죽 가공품, 석유 화학과 화학 제품들을 생산해내는 중요 공장들이 근처에 있는데다가 이들이 이 곳에 쓰레기를 무단 투기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강이 오염된 것을 잘 알고 있다. 기사 속 베가 빌라비센시오의 말: 레르마 강에 대한 불친절한 행동은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환경운동가들은 이미 강의 90%가 오염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이 바뀌지 않는 한 회복은 불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짐과 캐롤의 멕시코 여행의 설명: 수 년에 걸친 세월 동안, 레르마 강은 농경업으로 인해 상류의 물들을 조금씩 빼앗겼다. 또한 이 강은 농약을 비롯해 엄청난 양의 산업폐기물들이 버려지는 장소였다. 블로그 Cazador de la Verdad (진실 사냥꾼)은 강 오염의 결과를 보여주는 두 개의 비디오를 올렸다. 수질 오염의 결과 레르마 강의 오염으로 인해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피해를 보면서 엄청난, 아니 아예 잴 수 없을 만큼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2007년도에 블로거 크리스틴 테일러는 Toluca Gringa 블로그에 직접 강을 마주해 보았던 그녀의 경험을 나누었다 : 멕시코 시티로 가기 위해 지나는 길에서, 전 그 냄새를 맡았었습니다. 눈 하나 깜빡하지 않고 공장들이 쓰레기를 물에 버리는 밤에는 특히 악취가 심하죠. 고마워요, 네슬레. 초콜릿 분말도 충분히 나쁘답니다. 이제 한번 보세요. 최근에 전 낮에 그 곳을 방문했었습니다. 10분만에 전 목 뒤가 이상하게 뜨거워지는 느낌을 느낄 수 있었어요. 농담이 아닙니다. 그 곳을 떠난 지 몇 시간 후에도 눈이 계속 따가웠어요. 제가 제 피부에 3도 화상을 입었던 그 날을 떠올리게 해준 그 거품이 일어나는 물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돌연변이 종을 빼고서는 어떤 것도 살아있는 게 없었죠. 엘 뻬리오디꼬 (남방일보) 는 레르마 강의 오염으로 인해 "암으로 죽는 사람들의 비율이 눈에 띄게 늘었다" 는 기사를실었다. 다른 신문인 미꼬아칸의 라 호르나다 에서 셀릭 멘도자는: 어스 아일랜드 저널 에 실린 연구원 제프 코난트의 기사에서 그는 비극적인 이야기에 대해 말한다: 아이는 바로 구출되었지만 이틀만에 아이는 병에 걸리고 말았다. 19일 뒤, 아이는 죽었다. 다른 해부 기록은 중금속 중독이라고 말했다; 미구엘 엔젤의 피 안의 비소 농도가 치사량의 10배였던 것이다. 소년의 죽음은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멕시코의 가장 심각한 환경 재앙들 중 하나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라 호르나다 가 다른 기사에서 보도하듯, 인간만 이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시 정부와 중앙 정부 관료들은 이 현상이 산소 부족으로 인한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결론내렸다. 르완다 학살, 그로부터 16년 4월 7일 르완다에서는 대규모 학살 사건의 16주년을 맞아 추모의 시간을 가졌다. 르완다 학살은 자그마치 80 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르완다는 오늘날까지도 그 충격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추모 기간은 학살 당한 희생자들을 기릴 뿐 아니라 르완다를 통합과 화해로 한 발짝 나아가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생존자들은 당시 (학살사건)의 100일간을 떠올리며 이때가 인간성이 심각하고도 거듭적으로 없어져 버렸던 때라고 했다. 많은 생존자들이 재건에 참여하면서 서로간 공존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프랑스의 사르코지(Sarkozy) 대통령은 최근 키갈리 방문 중 카가메(Kagme)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 회견에서 ‘1994년의 일들은 실수’ 였음을 인정하였다. 사르코지 대통령의 발언 이후 블로거들은 학살 추모일의 의미와 르완다의 복잡한 국제 정세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투치(Tutsi)의 생존자 노라 바가링카(Norah Bagarinka)는 민병대에게 붙잡혔다가 그 중 하나가 그녀의 정원사여서 가까스로 구출됐던 때를 회상했다:
0.820313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5
Singapore: Minimum Wage Debate Photo from the Flickr page of Maks Karochkin used under CC License Attribution 2.0 GenericShould the Singapore government impose a minimum wage policy? Hong Kong’s recent decision to adopt a minimum wage policy has sparked a debate in Singapore as to whether the prosperous city state should also fix the minimum wage of workers. A minimum wage, if properly set, is the income required for decent living in Singapore. Yet there is more than it meets the eye. Such an analysis based on an individual worker’s well being without consideration to the co-workers, employer, economy and consumer, is myopic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every individual has a place and value in the society, regardless of profession, race, qualifications or family background. The value of each individual in the society is not for the State to determine but up to each individual’s ability to contribute and value add his/her firm in the economy. The reality is that minimum wage exists in Singapore. The minimum starting pay for a cabinet minister is $1.5 million, regardless of not being backed by a single ballot cast in his name, not possessing prior track record in political office, or inexperience in managing a budget for a national mega project. The minimum for a senior minister is $3 million.
싱가폴: 최저임금제 논쟁 막스 카로킨 (Maks Karochkin)의 Flicker 페이지에서 온 사진임 싱가폴 정부가 최저 임금제를 실행해야 할까? 최근 홍콩에서 최저 임금제가 도입된 후, 싱가폴에서도 노동자 최저 임금을 규정해야 하는지 이야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역, 산업, 인적자원부 장관인 리이샨, (Lee Yi Shyan)은 최저 임금제에 대해 반대하며 이렇게 말했다.
0.73925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6
China: Anti-Japan demonstrations erupt in three cities Large anti-Japan demonstrations took place Saturday afternoon in the cities of Xi'an, Chengdu and Zhengzhou; reportedly organized by university groups over the Internet through QQ and other social networking sites , the protests have taken many by surprise. They come on the same day as an anti-Chinese protest was held in Tokyo, photos from which can be seen here. A large number of photos and tweets have come out of the protests, yet explanation as to what spurred them remains to be seen, however a Xinhua report that came out soon after protests began references the recent flare-up of the ongoing dispute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the Diaoyu islands. Despite having apparently been organized online, few blog posts regarding the motivation behind the demonstrations can currently be found, and even posts about related posts being deleted are being deleted. Anybody know what sparked today's protests? From Twitter around 5pm today, in Chengdu:
중국: 세 도시에서 일어난 반일시위 지난 토요일 오후, 시안(Xi'an), 청두(Chengdu) and 정저우(Zhengzhou)에서 QQ와 다른 인터넷 사이트에서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규모 반일 시위가 열렸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위를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중국에서 반일 시위가 일어난 같은 날에 도쿄에서는 반중국 시위가 있었다. (도쿄 반중국시위의 사진은 이 곳에서 볼 수 있다. 이 시위에 대한 여러 사진과 트윗글이 나왔지만, 과연 무엇이 중국 대학생의 행동에 불을 지폈는지 그 이유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하지만, 이 시위 직후 신화(Xinhua)통신은 두 나라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는 댜오여우 섬(the Diaoyu islands)에 반일 시위의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보도 하였다. 비록 시위는 온라인상에서 조직되었지만, 이 시위를 선동했던 블로그 포스팅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고, 심지어는 이 시위와 관련된 포스팅들도 삭제되었다. 누구 혹시 이 시위가 왜 시작되었는지 아는 사람 있는가? 트위터에 오늘 5시경 청두에서 이런 글이 게시되었다.
0.794434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7
Puerto Rico: Pervasive Corruption in the Police Department On October 6th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s (FBI) arrested 133 people in Puerto Rico, including 89 police officers, in what the US Department of Justice called "the biggest police corruption investigation in the history of the FBI". The police officers were accused of providing protection to local drug dealers. This represents a very serious blow to the already tarnished reputation of Puerto Rico’s police department after very high profile cases of police brutality the past few months. Puerto Ricans are wondering how and why things have fallen so low. Criminal justice professor Gary Gutiérrez worries in an article for the digital online magazine 80 Grados about the delegitimization of the authority of the police after these arrests:
푸에르토리코: 만연한 경찰 부패 10월 6일 미국 연방수사국(FBI)는 89명의 현직 경찰을 포함해 133명을 체포했다. 법무부에 따르면 이번 검거는 FBI역사상 가장 큰 경찰 비리 혐의 체포였다. 검거된 경찰들은 지역 마약상들을 보호해 준 혐의를 받고 있다. 푸에르토리코 경찰청은 이미 몇 개월 전 폭력성 문제 때문에 비판을 받은 적이 있기에 이번 사건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됐다. 국민들은 자국 경찰의 부패 원인을 궁금해 했다. 형사법 교수 개리 구티에레스(Gary Gutiérrez)는 디지털 온라인 잡지 80 그라도스(80 Grados)에 기고한 자신의 글에서 이번 사건으로 추락한 경찰의 위신을 걱정했다:
0.856934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8
China and Tibet: Democracy in Exile Being a Tibetan in exile is a loss that manifests in many forms: the loss of homeland and natural rights fall within that. To some degree, the loss is also a blessing in disguise. Exile bestows upon Tibetan refugees in Dharamshala a reinforced national identity, a free voice, the right to practise and spread their religion without fear of persecution and the right to vote. All of these are denied to Tibetans who remain in a Han-Chinese ruled Tibet. Chinese American academic Jianglin Li, author of 1959 Lhasa, was in Dharamshala on October 3 to observe the preliminary election of the Kalon Tripa, the leader of the Cabinet of the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CTA), a pressure group subordinate to the 14th Dalai Lama. The CTA's stated goal is to "rehabilitate Tibetan refugees and restore freedom and happiness in Tibet". The process of electing the Kalon Tripa (Chairman of the Kashag or Cabinet) is similar to a popular vote for the head of state in western democracy. Alongside it was the election of the senate, however, with a Tibetan twist. ...the instability that has been the highlight of the Nepalese Government has provided the Chinese Government with willing officials there who play into their hands to deny basic and fundamental rights to Tibetan refugees in Nepal. On October 3 we witnessed on such attempts when local officials seized ballot boxes from the Tibetan community in Nepal’s capital, who were participating in this worldwide elections. Apart from South Asia, the election also took place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mong Tibetan exiles. What is your position on the China Tibet negotiations and what would you do differently? What measures do you believe we, the Tibetan community in exile, can take to effect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of Tibetans residing inside Tibet; especially those confronting land rights issues, unwarranted detentions, and inequalities in competing for education and jobs? What would you do to improve the standard of education in our school system and how would you help young Tibetans preserve their culture while in exile?
중국과 티베트: 망명 민주주의 망명 티베트인으로 산다는 것은 고향 땅과 그 안에 살면서 누릴 수 있는 모든 기본권리들을 잃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 이는 손해의 가면을 쓴 축복이기도 하다. 다람샬라(Dharamshala)에 망명 중인 티베트인들은 망명을 통해 한 층 강화된 민족 정체성, 자유로운 발언권과 박해의 두려움 없이 그들의 종교를 행하고 퍼뜨릴 수 있는 권리 그리고 투표권을 부여 받았다. 이 모든 것들은 중국 한족이 지배하는 티베트에 사는 이들에게는 불가능한 것들이다. 중국계 미국인 학자인 지앙린 리(Jianglin Li)는 1959 Lhasa의 저자이다. 리는 10월 3일 다람샬라를 방문하여 티베트 중앙 행정부(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CTA)) 내각 수상 (칼론 트리파(Kalon Tripa)) 예비선거를 참관했다. 이 CTA는 14대 달라이 라마 소속 압력단체로서 이들의 공식 목표는 “망명 티베트인들을 복귀시키고 티베트에 자유와 행복을 돌려놓는 것”이다. CTA는 ‘티베트 망명 정부’로 흔히 알려져 있다. 리(Li)의 포토저널에 실린 묘사에 따르면 투표자들은 저마다 얼굴에 감출 수 없는 함박웃음을 띤 채로 지역 투표소에 떼지어 나타났다고 한다. 이와 같이 진행 된 상원 선거는 티베트의 방식대로 진행됐다. 리는 상원 선거 관련 규칙을 이렇게 설명했다:
0.793457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9
Thailand: Worst flooding in decades Heavy rains in the past weeks produced flooding disasters in the Philippines, Vietnam, Cambodia and Thailand. This post will focus on Thailand which recently experienced its worst flooding in many decades. View Thailand Flood in a larger map Aside from the google map showing the flooding in various parts of Thailand, a map of flood risk areas in Bangkok is also available online. Check the Thai Flood Situation and Thai Flood for disaster updates. The long-term trends, of course, re for Bangkok to be under a metre of water by the time I finish paying the mortgage. It’s been raining almost non-stop for the last five days, the result of Typhoon Megi. This is a Video of us trying to get out of Nakornratchasima Thailand during the current flood. My Visa was going to expire and we had been trying to get out for days, this was the last day I had to get out cause my visa was going to expire on this day. Asks all sides to leave politics behind & help (Author’s note: Thaksin is former Prime Minister) igeorge_heroes: RT @TAN_Network: INN: Flood waters have caused temporary suspension of train services from Bangkok to Northern Thailand And a Facebook event: Fundraising Party in Aid of Flood Victims in Thailand
태국: 몇 십년 만의 최악의 홍수 지난 몇 주간의 엄청난 폭우가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을 덥쳤다. 이 글은 최근에 태국에 몇 십년만에 일어난 최악의 홍수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다. 10월 10일부터 태국의 13개 주가 홍수 피해를 입었다. 최악의 피해는 그 중 북동부의 농촌에 갔다. 농작물들이 파괴되고, 병원들도 대피하고, 심지어 2층짜리 집들도 잠겼다. View Thailand Flood in a larger map 홍수피해를 입은 태국의 여러 곳을 보여주는 구글 지도 이외에도 방콕의 침수 위험 지역을 보여주는 지도도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다. '태국 홍수 상황'과 '태국홍수' 에서 피해 경과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Tweet Yourself Thai는 올해 홍수 피해를 예측하지 못했다.
0.80175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0
Indonesia: Earthquake, Tsunami, Volcanic Eruption in 48 hours Photo of eruption impact from the FB page of JogjakuIndonesia is no stranger to natural disasters since its location in the Pacific Ring of Fire makes it vulnerable to storms, quakes and volcanic eruptions. But this week, Indonesia was caught unprepared when an earthquake, tsunami and volcanic eruption battered the islands in less than 48 hours. Casualties are expected to exceed 500 and thousands of families need immediate relief. Photos of the impact of the triple disasters have been uploaded already on Facebook. Click here to view the photos of the eruption of Mount Merapi, one of the most active and dangerous volcanoes in the world. Mentawai Island, meanwhile, was hit by a tsunami and here are the photos. The Mentawai map can be seen here. mellydjie: Many natural event which struck Indonesia,really sad...forest fires,landslides,eartquake,flood,tsunami.Let us pray for #Indonesia. veranotariza09: RT @devinoliver: Earthquake, a major tsunami,floods & a volcanic eruption have all occurred over the past 48 hours. Please #prayforindonesia marshawenur: @Ryota_sw yea, the place whre tsunami occured is pretty isolated, its a small islands. So kinda tough 4 rescues 2 reach tht place. Its sad NinRex: RT @radhialyani: The eruption of merapi, tsunami at mentawai & aceh, quake at jogja & tasik, all happened at the same date: 26 winnielimawan: Keep #prayforindonesia, we need restoration for what has happened: earthquake, tsunami, volcanic eruption, floods. God, restore our country myBny: let us unite and join hands to support our friends affected Wasior, Mentawai and Mount Merapi (indonesia) Gupta1978: In moment like this I realize,my tribulations is nothing compare to yours my sister and brother, people of Mentawai and Merapi.God Bless! tatterscoops: Morning! Another cloudy day in Jakarta. My thoughts goes out to the victims of Mentawai, Mt. Merapi & lets not forget Wasior people in Papua FadhilaAgustina: Just praying for the victims in Mentawai and Central java is not helping,they need more food and clothes and medicines to survive... The recent tsunami disaster reminded everyone of the Aceh disaster a few years ago and the flashflood which hit West Papua early this month. Photo from the FB page of JogjakuThe support message by singer Justin Bieber was used by some netizens to highlight the “delayed response” of the government justinbieber: just found out about the earthquake in Indonesia. everyone please pray for the people there. #prayforindonesia martinmanurung: RT @hansdavidian: Dear mr. President, @justinbieber beat U 2 express concerns ovr yr fallen countrymen. U, sir, R a disgrace 2 R nation. The twitter hashtag #prayforindonesia became a global trending topic for many days. Here are sample twitter messages from Malaysia, Singapore, and Manila. #prayforindonesia global conversation on trendsmapRelief efforts are coordinated by many groups, and also by the blogging community. My condolences to the victims of tsunami in Mentawai, Sumatra and of vulcanic eruption of Mount Merapi in Central Java, this week. Alas, same things repeat: slow response and lax coordination from the government, stupid minister blaming accidents on the victims for not obeying the God's rules, media blunders, insensitive netizens posting pictures of victims on soc meds, and so forth.
인도네시아: 48시간 동안의 지진, 쓰나미 그리고 화산 폭발 자연 재해가 인도네시아에서는 그리 생소한 것이 아니지만 이번 주, 지진, 쓰나미 그리고 화산 폭발이 48시간도 안되어 이 섬들을 부수어 놓았을 때, 인도네시아는 이에 전혀 대비하지 못한 상태였다. 현재 사상자만 500 명을 넘는 것으로 예상되며 몇 천 가구에 당장 구호 물자들이 필요한 상황이다. 재앙의 3연속으로 인한 여파를 보여주는 사진들은 벌써 페이스북에 올라왔다. 여기 를 클릭하면 가장 활동적이고 위험한 화산들 중 하나인 메라피 산의 폭발 사진들을 볼 수 있다. 한편 멘타와이 섬은 쓰나미에 휩쓸렸으며 이 곳에서 관련 사진들을 볼 수 있다. 멘타와이 섬의 지도 는 이 곳에서 볼 수 있다. 자카르타에서의 트위터 반응들: mellydjie: 너무나 많은 자연 재해들이 인도네시아를 덮쳐서 너무나 슬프네요. veranotariza09: RT @devinoliver: 지진에, 메이저급 쓰나미에 홍수 거기에다 화산 폭발까지 모두 지난 48시간만에 일어났습니다. 제발 #인도네시아를위해기도해주세요 marshawenur: @Ryota_sw 응, 쓰나미가 일어난 곳은 고립된 곳이야. 그래서 구호팀이 거기 가는 것도 어려워. 참 슬픈 일이지. NinRex: RT @radhialyani: 메라피 산의 폭발, 멘타와이 섬과 아체 지역의 쓰나미, 족자 지역과 다식 지역의 지진 이 모든게 26일 하루에 일어났어요. winnielimawan: 계속 #인도네시아를위해기도해주세요, 우린 지금 일어난 사건들에서 회복해나가야해요: 지진, 쓰나미, 화산 폭발에 홍수까지. 신이시여, 우리 나라를 다시 일으켜주세요. myBny: 우리 모두 하나로 뭉쳐 피해를 입은 와시오르 지역, 멘타와이 지역과 메라피 산 (인도네시아)에 있는 우리의 친구들을 돕도록 합시다. Gupta1978: 이런 상황에서야 전 제 고생은 멘타와이 지방과 메라피 사람들의 고통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걸 깨달았어요. 신이 그들을 축복해주기를! tatterscoops: 좋은 아침! 멘타와이 섬과 메라피 산에 있는 피해자들에 대한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파푸아의 와시오르도 잊지 말아야 해요. FadhilaAgustina: 멘타와이 지방의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게 없는데 자바는 돕지 않고 있네요. 최근의 쓰나미 재앙은 모두에게 몇 년 전 아체 지역에서 일어난 재앙과 이번 달 초 서파푸아를 덮친 갑작스러운 홍수 를 다시 한 번 떠올리게 해주었다. 가수 저스틴 비버가 쓴 응원 메세지는 몇몇 네티즌에 의해 정부의 "뒤늦은 대응"을 부각하고 있다. justinbieber: 방금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난 지진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인도네시아를위해기도해주세요 (#prayforindonesia) 당신의 고통받는 국민들을 위해 당신도 걱정하고 있다는 걸 좀 알려주세요. 대통령님, 당신은 우리 나라를 망신시키고 있어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그리고 마닐라에서 날아온 예시 트위터 메세지들: 트렌드맵의 #인도네시아를위해기도해주세요 에 관한 글로벌 토크 이미지 현재 구호 활동은 여러 단체들과 블로거 커뮤니티에 의해 조직되고 있다. • 라지스 무하마디야: BCA 계좌번호: 8780171171;만디리 계좌번호: 1230099008999; BNI 샤리아 계좌번호: 0091539444 아아, 안타깝게도 또 똑같은 일이 반복되고 말았습니다: 정부의 늦장 대응과 처리, 신을 따르지 않은 피해자들을 나무라는 바보같은 장관, 미디어의 대실수들, 소셜 커뮤니티에 피해자들의 사진을 올리는 무신경한 네티즌들, 그리고 그 외 많은 것들이 말이죠.
0.84082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1
Japan: Where taking a vacation is a no-no Lying lazily in the shadow of an umbrella on a beach, being a tourist and wandering around the streets of an unknown city with a guide book in your hands, or just relaxing at home enjoying free time. Common ways of spending a holiday perhaps, however, many Japanese forego these every year in order to miss as few days of work as possible. According to a survey by Expedia Japan that examines the ‘Vacation Deprivation’ situation in 11 developed countries, Japanese workers take on average only 7.9 days off a year. Japan, with an average allowance of 15 paid days off a year is the country with the smallest number of paid days off after the U.S. It is, however, number one for untaken vacation time. Among the causes are said to be pressure and anxiety due to the economic crisis and a working environment where few people dare to be absent from work so as to avoid “causing trouble to their colleagues” by increasing their workload. A proposal to replace the old-fashioned OUT OF OFFICE message. by Luis Gosalbez. CC License An anonymous business man at Hatenalabo shares his experience as a superior with the authority to allow vacation time to his younger colleagues. From executives down to the heads of smaller divisions, nobody wants to take the responsibility to say “yes” to a colleague who wants to use the days off that are due to him in his contract. The older colleagues don't take vacations and so the newer ones won’t either. That's the praxis!
일본: 있으나 마나한 유급 휴가 해변가의 파라솔 그늘 아래 여유롭게 누워있거나, 관광객이 되어 손에 가이드북을 들고 생소한 도시의 거리를 돌아다니거나, 아니면 집에서 휴식을 취하며 자유시간을 즐기기. 이게 휴일을 보내는 일반적인 방법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많은 일본인들은 직장에서 최대한 휴가를 내지 않으려 이러한 휴일을 매년 날려 버리곤 한다. 익스페디아 (Expedia) 일본지부가 선진국 11개국을 대상으로 한 ‘휴가 부족 (Vacation Deprivation) 상황에 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본 노동자들은 1년에 평균 7. 9일의 휴가를 보낸다. 일본에서는 평균적으로 15일의 유급 휴가가 주어지는데 이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다. 사용하지 않은 휴가 일수로는 일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인들이 경제적 위기에 중압감과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또한 휴가를 사용함으로써 “동료에게 업무 부담을 늘리는 폐’를 끼치지 않고자 하는 직장 내 분위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기존 ‘부재중’ 메시지의 대체 이미지로 제안됨. CC License 하테나라보 (Hatenalabo)의 익명의 한 사업가는 사원들에게 휴가를 승인해주는 권한이 있는 담당자로서 본인의 경험을 적었다. 임원진부터 각 부서의 팀장에 이르기까지 그 누구도 휴가 신청에 “좋다”라고 자신의 이름으로 승인하는 것을 꺼려한다. 근무 연차가 높은 직원은 휴가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이다!
0.855469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2
Ecuador: Bloggers Try to Make Sense of Chaos Caused by Police Strike Uncertainty still reigns in Ecuador. Even though President Correa was rescued from the Hospital where he was being held -as Global Voices previously reported-, protest by the police force are still taking place, no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law of public service and nobody knows the level of punishment the unruly cops will receive. What is certain is that Fausto Franco was appointed as the new Police Chief, and that as a result of the events on September 30, 8 people were killed and 278 injured . Among them was a university student, Juan Pablo Bolaños . President visits army colonel Vicente Guzman, a loyal officer injured during Wednesday night's rescue. Photo by Santiago Armas, used under CC license. Global Voices recently offered reports from Twitter . From noon until 9 PM on September 30, Ecuadorians had no other means of information than the Internet and official channels . Blogger Daniel Ochoa , as many other Ecuadorians, believes that there were no winners on September 30. He comments on the levels of sensitivity he noticed in President Correa:
에콰도르:경찰 폭동의 진실을 찾아나서는 블로거들 에콰도르는 아직 불안한 정국이다. 일단 코레아 대통령이 억류되었었던 병원에서 구출되었지만 글로벌 보이스가 보도했듯이 경찰력에 의한 시위는 계속되고 있으며, 공공 복지법은 요지부동에다 도무지 통제 안 되는 경찰들의 처벌 정도도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확실한 것은 파우스토 프랑코가 새 경찰총장으로 임명되었다는 것과 9월 30일의 일로 인해 8명이 죽고 278명이 부상당했다는 것이며, 그 중에는 대학생 후안 파블로 볼라뇨스도 있다. 이 시위는 그들은 돈을 받지 못해서가 아닙니다. 이건 그 동안의 신자유주의 암흑기보다도 더 심각해요. "쿠데타 시도"에 대한 의혹 com의 글을 리트윗 했다. 에콰도르인들은 대통령의 주장을 너무 많이 들어버린 나머지 오히려 대통령의 말에 의구심을 품기 시작하고 있다. 또 다른 트위터 유저인 패트리시오 아길레라 (@darkaguilera)는 이렇게 적었다. 그의 이데올로기가 더이상 국가의 안전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됩니다.
0.813477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3
Kuwait: Let the Tomatoes Rot! Tomatoes are now eight times more expensive in Kuwait than they were a month ago - and netizens are not taking the change in prices in stride. They cannot find an explanation to why the cost of a box of tomatoes jumped from half a dinar ($1.70) to KD4 ($14) in just a few days. AlDestor wrote: The problem is in the culture of consumers who don't understand the important cycle which any merchant depends on. Merchants cannot keep consumers at bay and will sell you his goods because at the end,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losses and no one would want to lose completely. Everyone wants to sell and if the merchant loses a dinar today, he will win a good customer who will buy for KD2 in the future and this is how the commercial cycle continues. Yesterday, it was the rising cost of eggs and today, it is the tomatoes. Tomorrow it could be bread or rice, considering that agricultural produce in Peshawar - Pakistan - was destroyed in the floods. m-vitaminz wonders why Parliament members are not up in arms about the increase in prices: Why aren't the members of Parliament and opposition holding lectures, gatherings and rallies to protest against the increase in the prices of tomatoes? Why haven't they threatened the Prime Minister that with questioning in Parliament for the hike? Why haven't they disclosed who is behind this huge spike in prices and formed an investigation committee? And as with each problem in Kuwait, Twitter is flooded with jokes and comments about the subject. BoJaij says: Every parliamentarian will get a box of tomatoes for free to mark the beginning of the new Parliament term. and fayounii throws sports into the mix: The Kuwaiti Football Association has decided to give each player a box of tomatoes for winning the championship.
쿠웨이트: 토마토 가격 폭등 쿠웨이트에서 토마토 가격이 한 달 사이 무려 8배나 뛰었다. 네티즌들은 이런 가격 변동에 불편해 하며, 왜 토마토 한 박스의 가격이 며칠 만에 반 디나르(1. 알데스터라는 블로거는: 문제는 장사의 기본적인 순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에 있습니다. 상인들은 소비자들을 피할 수 없을 뿐더러, 결국 손해를 보는 것은 원치 않기 때문에 물건을 파는 겁니다. 물건을 팔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 중 어떤 상인이 오늘 1디나르를 손해본다고 칩시다. 그렇다면 그 상인은 미래에 2 쿠웨이트 달러로 상품을 살 단골을 얻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죠. 이 악순환으로 인해 예전에는 달걀 가격의, 지금은 토마토 가격의 인상이 초래된 겁니다. 엠-비타민즈는 왜 국회의원들이 가격 폭등에 분노하지 않는지 되물었다: 왜 국회의원들과 반대파들은 반대 연설을 하거나 토마토 가격 인상에 대한 집회를 열지 않는 거죠? 왜 가격 폭등에 대해 총리를 몰아 세우지 않는 거죠? 왜 이 엄청난 가격 폭등을 초래한 사람이 누구인지 밝히고 조사위원회를 발족하지 않는건가요? 그리고 쿠웨이트의 모든 문제에 대해 그랬듯, 트위터에는 이 주제에 대한 농담과 코멘트가 넘쳐났다. 보자이즈: 모든 의회주의자들은 의회의 새로운 단어를 만든 걸 기념하기 위해 공짜 토마토 한 박스를 각각 받을 겁니다. 파유니: 쿠웨이트 축구 협회가 우승을 기념해 모든 선수들에게 각각 토마토 한 박스씩을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0.818359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4
Colombia: University of Antioquia Closed After Clash Between Students And Police The University of Antioquia, located in Medellín, Colombia, is known as one of the most prestigious public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Colombia. The comments coming from media outlets say that the university has a serious problem with rebelliousness. And once again those who study at the university are being stigmatized. A tweet from Journalists UdeA (@periodistasudea) says:
콜롬비아: 학생들과 경찰 충돌 후 안티오키아 대학 폐쇄 명령 콜롬비아 메델린(Medellín)에 위치한 안티오키아 대학(The University of Antioquia)은 콜롬비아에서 손꼽히는 유수의 공립 학교이다. 각종 매체가 안티오키아 대학이 반동적이다라고 평하고 있어서, 이런 낙인이 이 대학 출신들을 따라다니게 되었다. 교내매체 Udea의 기자@periodistasudea는 트위터에 이런 글을 남겼다.
0.802734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5
Myanmar's new flag and new name Independent media group The Irrawaddy provides more information about the new flag The new flag, designated in the 2008 Constitution, has a central star set against a yellow, green and red background. The old flags will be lowered by government department officials who were born on a Tuesday, while the new flags will be raised by officials born on a Wednesday. One million flags have been made by textile factories, according to sources within the Ministry of Defence. The new flag is look like exactly the same as the Shan State flag apart from the star instead of white circle inside.
미얀마의 새 국기와 새 이름 지난 주, 처음으로 미얀마의 새 국기가 공개되었다. 친 정부 미디어에 의하면, 이 공개행사는 유 땡 쎈 (U Thein Sein)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국가 평화 및 개발 위원회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사무실에서 열렸다. 사영매체인 The Irrawaddy에서 새 국기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였다.
0.65185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6
China: Mapping violent evictions for homebuyer awareness Google Maps, not Ushahidi or Map World, is what one activist is using in Bloody Map, plotting information of forced evictions from across the country with conscientious potential homebuyers as the target audience: Bloody Map, according to its Wikipedia entry:
중국: 주택구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블러디 맵 제작 이 운동가는 어샤히디(Ushahidi)나 맵 월드(Map World )가 아닌 구글 맵을 사용하였고, 이 블러디 맵은 잠재적 주택 구입자를 대상으로 만들어 졌다: 위키피디아는 블러디 맵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0.76464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7
Armenia: Domestic violence claims a life The issue of domestic violence in Armenia is well known, albeit rarely spoken about openly. However, a video interview with the family of a young woman who died of injuries sustained after being beaten by her husband and his mother has shocked and angered many. Ianyan posts an extensive entry. Zaruhi Petrosyan, a 20-year-old mother of two was beaten to death by her husband and mother-in-law over attempts to extort money from her and her family. In a video shot by News.am reporter Gagik Shamshyan, Petrosyan’s mother and sister, Hasmik Petrosyan, can be seen recounting the excruciating tale of violence Zaruhi experienced in the months and years before her death on Oct.1. According to Petrosyan’s family, she received the beatings as threats to follow through with her husband and mother-in-laws demands to ask for money from her relatives. Her mother-in-law beat her while she was pregnant, Hasmik said. The family appealed to law enforcement two times, even with a written notice stating that if the beatings continued, it would result in criminal action, but they said nothing was done. Unzipped also comments on the case and especially inaction from the authorities and law enforcement agencies. I remember when relatively recently the Women's Resource Centre wanted to put posters in Yerevan to highlight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and indicate hotline for those affected to call, the Yerevan municipality refused to allow it by claiming there is no such problem in Armenia. Typical mentality. Let's pretend that we do not have such problem, let's not talk about it, otherwise it may affect our image... Instead of facing up the problem and developing effective means to tackle it. In the meantime, cases keep happening... The Armenian Observer also takes the same approach and urges readers to sign an online petition to urge the passage of legislation to tackle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in Armenia. What I find strikingly typical in this story, is that Zaruhi Petrosian, the victim, told the doctors she ‘fell’. It is considered a shame in the Armenian society to voice about shameful things in the family. This also translates to other issues in the society – take corruption, election fraud or hazing in the Army. Writing on the Amnesty USA blog, Global Voices author Simon Maghakyan expresses his anger and also urges readers to sign the petition he was responsible for setting up. What makes me angrier is Armenian government’s inaction on domestic violence even after international uproar a few years ago. In November 2008, Amnesty International issued a report on domestic abuse in Armenia stating that more than a quarter of women in Armenia have faced physical violence at the hands of husbands or other family members. Many of these women have little choice but to remain in abusive situations as reporting violence is strongly stigmatized in Armenian society. Please join me in signing the petition to Armenia’s prime minister demanding that his government guarantee justice in the death of Zaruhi by investigating all possible guilty parties (not just the husband but also his brother and mother); investigating allegations of local law enforcement’s prior knowledge of Zaruhi’s continuous abuse; and expediting the passage of domestic violence legislation. Meanwhile, on a related note, Le Retour (in 3 Parts) also comments on the case, but adds criticism of government attempts to stage a beauty contest which would arguably perpetuate the existing patriarchal society in place. we wonder why gender stereotypes prevail in our country and why women continue to be abused at the hands of men. When notions of “man” and “woman” get defined and confirmed by government officials, why are we surprised when violence — physical, emotional, financial — prevails in society? When are we going to say enough is enough? The petition can be signed here.
아르메니아: 목숨을 앗아간 가정 폭력 아르메니아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정 폭력 문제에 대해 알고 있지만 공개적으로 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들은 거의 없다. 그러나 최근 남편과 시어머니의 폭력에 의해 사망한 한 젊은 여인의 가족들을 인터뷰한 영상이 많은 이들에게 충격과 분노를 안겨주었다. Ianyan는 이를 자세하게 다루는 포스팅에서: 두 아이의 어머니였던 스무 살 자루히 페트로시안(Zaruhi Petrosyan)은 남편과 시어머니에게 구타당한 끝에 사망했다. am의 리포터 Gagik Shamshyan이 촬영한 영상에는 자루히가 10월 1일에 사망하기 전 수개월, 수년 전부터 겪어온 극심한 폭력에 대해서 그녀의 모친과 언니 해스믹 페트로시안(Hasmik Petrosyan)이 상세히 이야기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자루히의 가족에 따르면 그녀는 남편과 시어머니로부터 친정에서 돈을 가져오라는 협박을 당하며 구타를 당했다고 한다. 그녀의 언니 해스믹은 그녀가 임신 중이었을 때에도 구타당했다고 말했다. 자루히의 가족은 두 차례나 법적으로 일을 해결하려 했다. 폭력이 계속 될 경우 범죄행위로 간주하겠다는 통지서를 써 보내기도 했지만 이 역시 통하지 않았다. Unzipped역시 이 사례에 관한 당국과 법 집행기관의 무대책에 대해 비판한다. 최근 여성 자원 센터(Women's Resource Centre)에서 예레반(Yerevan, 아르메니아의 수도)에 포스터를 배포하려고 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가정 폭력의 심각성을 알리는 동시에 피해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상담전화 연결 번호를 명시해둔 포스터였죠. 늘 이런 식이예요. 나라 이미지에 악영향을 줄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문제 없는 척 덮어두고 쉬쉬하는 겁니다. 문제를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세우는 대신에요. 그러는 와중에 가정 폭력 사건은 늘어만 가죠. The Armenian Observer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아르메니아의 가정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 통과를 요구하는 청원서에 서명하기를 독자들에게 강력히 권고하고 나섰다. 자루히의 이야기에서 너무나도 뻔한 부분은 그녀가 의사들에게 ‘넘어져서 생긴 상처’ 라고 둘러댔다는 겁니다. 아르메니아 사회에서 가정사의 부끄러운 이야기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지죠. 부패, 선거 위반, 군대 내에서의 따돌림 같은 다른 사회문제에서도 이야기는 같습니다. Amnesty USA블로그에 남긴 글에서 사이먼(Simon Maghakyan)은 분노를 표출하며 그가 시작한 청원서에 서명할 것을 독자들에게 강력히 권고했다. 저를 지금 더 화가 나게 하는 것은 아르메니아 정부가 몇 년 전 국제적인 논란이 일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정 폭력 문제에 대해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2008년 11월에 Amnesty International에서 아르메니아의 가정 폭력에 관한 자료를 보도했습니다. 25% 이상의 아르메니아 여성들이 남편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폭력에 시달린 경험이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있었어요. 대부분의 피해 여성들은 계속해서 폭력에 시달리며 살아갈 수 밖에 없습니다. 폭력을 신고하는 일은 아르메니아 사회에서 금기 시 여겨지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자루히의 죽음 앞에 정의를 보장할 것을 요구합니다- 모든 가해자들을 조사할 것 (남편 뿐 아니라 그의 형과 어머니 까지도); 자루히가 폭행 당하고 있었음을 지방 자치 당국이 미리 알고 있었다는 혐의에 대해서도 조사 할 것; 가정폭력방지법안을 신속히 처리할 것 등을 요구합니다. Le Retour (in 3 Parts) 역시 이 사례에 대해 언급하며 정부의 미인대회 개최 시도를 비판한다. 현재의 가부장적 사회를 영구화할 우려가 있다는 주장이다. 왜 이렇게 우리 사회에는 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팽배한 걸까요? 정부 관계자들이 ‘남성’과 ‘여성’의 관념을 결정지어 버리는데 왜 우리는 사회에 만연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금전적 폭력에 놀랄 수 밖에 없는 걸까요? ’ 이라고 외치실 건가요? 청원서 서명은 여기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0.848633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8
Ecuador: Keeping Traditions Alive on Day of the Dead Ecuadorians recently finished celebrating "Día de Difuntos" or Day of the Dead with liters of colada morada and many, many guaguas de pan — the traditional food and drink of the festivities. The special drink and bread are prepared and consumed November 2nd in celebration of an ancient tradition. The tradition has also been celebrated throughout the blogosphere, where a campaign has appeared to prevent Halloween from replacing the traditional celebration. The colada morada is an Ecuadorian drink, "prepared with black corn flour and fruits such as naranjilla, babaco, pineapple, blackberries, strawberries, and blueberries (which give it its purple 'morada' color)." It is traditionally consumed during the Día de los Difuntos public holidays, November 2nd. It is consumed together with the guaguas de pan, "a type of roll shaped and decorated in the form of a small child or infant. They are generally made of wheat and sometimes contain a sweet filling," such as jam. Guaguas de pan, Otavalo, Ecuador. Image from flickr account lumeriefl, u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License for Recognized Non Commercial Works 2.0 Maryasol's description, on Ecuadorecuatoriano , indicates colada morada originated from mazamorra which the indigenous population made prior to Spanish arrival.
에콰도르: '죽은 자들의 날' 살리기 에콰도르에서는 얼마 전 ‘디아 데 디푼토스’ (Día de Difuntos)', 즉 '죽은 자들의 날'을 기념했다. 에콰도르에서는 11월 2일에 이 오래된 전통을 기념하며 그들의 특별한 전통 음료인 ‘꼴라다 모라다’ (colada morada)와 전통 빵 ‘구아구아스 데 빤’ (guaguas de pan)을 준비해 먹는다. 에콰도르의 블로그 공간은 할로윈이 이 전통 축제를 대신하는 것을 막자는 취지의 캠페인을 벌이며 이 날을 기념했다. ‘꼴라다 모라다’(colada morada)는 에콰도르의 음료로, 흑옥수수 가루, 나랑히야(naranjilla), 바바코(babaco), 파인애플, 블랙베리, 딸기 그리고 블루베리(음료가 보라색을 띠게 함) 등의 과일이 재료로 들어간다. 11월 2일 ‘죽은 자들의 날’ 공휴일에 전통적으로 마시는 음료이다. 이는 작은 어린 아이나 신생아의 모습으로 돌돌 말려 구워진 빵인 ‘구아구아스 데 빤’(guaguas de pan)과 함께 마신다. 이 빵은 보편적으로 밀가루로 만들어지지만 때때로 잼과 같이 달콤한 속 재료를 넣어 구워내기도 한다. Guaguas de pan, Otavalo, Ecuador. Image from flickr account lumeriefl, u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License for Recognized Non Commercial Works 2. Ecuadorecuatoriano에 실린Maryasol의 설명에 따르면 ‘꼴라다 모라다’는 에콰도르의 원주민들이 스페인 정착 이전에 만든 ‘마싸모라’(mazamorra)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0.87060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19
India: Obama Mania The US President Barack Obama is in India now as part of his ten day Asia tour and he has generated a lot of interest in this country of 1.2 billion people. The Indian media got hyped up covering every bit of Obama's action in India and the netizens are also vocal about it. Hanna Ingber Win, a Global Post correspondent from Mumbai, captures the enthusiasm of the Indians: Welcome posters at American Center New Delhi. Image by US Embassy New Delhi. CC BY-ND “Ala, ala, ala,” (He’s coming, he’s coming, he’s coming) a little boy shouts in Marathi, the local language spoken in Mumbai. At another barricade, hundreds push and shove and jump up and down, trying to catch a glimpse of the president as he leaves Mani Bhavan, the museum where Mahatma Gandhi stayed when he visited Mumbai during India’s independence movement. When the president steps outside, the crowd goes wild, chanting, cheering and hooting away. Greatbong at Random Thoughts Of A Demented Mind describes how the Obamas are being treated in India: The moment we have an American President coming to visit us, the Pavlovian instincts take over and we are back into our rolling-on-the-ground mode. Coconuts are taken down so that one does not fall on the anointed one’s head. Special Indian massages are arranged for him and his wife. Platters are named in his honor. Public money is spent like water and ordinary citizens inconvenienced for HIS convenience. From New Delhi research analyst and blogger Varun Dixit questions "why is Barack Obama in India" and comments: Obama is trying to bring back jobs in US, which he couldn't succeed so far and I am sure will not be able to succeed in future also. Wall Street knows setting their operations in India will help them in long term whereas Obama is just playing politics by promising to US people what he cannot do. Indians were also very much interested to know Mr. Obama's stance on Pakistan and he somewhat startled many by his speech as Ghulam Muhammed from Mumbai explains: He (Obama) said, it is in India’s best interest that its neighbor Pakistan should become a peaceful and stable country, so that India’s own progress towards a future of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can be assured of a steady and peaceful progression. Commentators on all English Channels exploded with open hostility while the speech was still on. Hawks like Times of India’s Washington correspondent termed it as giving in to Pakistan blackmail. Khamba's hilarious take titled "Things Obama will never say in India " came somewhat true with that speech. A hoarding parodies Obama's Visit. Image via Twitpic user rushikeshgk Here are some reactions from the Indian Twitter users: aasthabiyani16: @ArjunKP Word! Sick of Obama Obama and more Obama, hey Raama come n save me from this drama, err that rhymes :p hopfans: Phew!! Hoping Barack Obama's gone to sleep. The US President sure has taken India by storm… http://goo.gl/fb/hmKIO jhunjhunwala: Why is the Indian Media having a collective orgasm over Obama? Kuch bolo bhai (please say something). Greatbong criticizes the Obama mania and suggests: We should treat Obama’s visit as just another visit by a head of state and not take it as a certificate of how much the US respects India. Because it does not. Definitely not under Obama.
인도: 오바마 매니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0일 동안의 아시아 순방국 중 하나인 인도에 머무르고 있다. 그의 이번 방문은 12억 인도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인도 언론은 그의 행동 하나하나에 주목하고 있으며 누리꾼들 또한 예외가 아니다. 글로벌 포스트 특파원 하나 잉버 윈(Hanna Ingber Win) 은 이런 인도의 오바마 대통령을 향한 관심을 담았다: Welcome posters at American Center New Delhi. Image by US Embassy New Delhi. CC BY-ND “알라,알라,알라”(그가 온다,그가 온다, 그가 온다)의 사내 아이가 뭄바이 방언 마라티어로 소리치고 있다. 다른 바리케이트에서는 마니 바반(Mani Bhavan) 박물관을 떠나는 미 대통령의 모습을 보기 위해 수백명의 인원들이 운집해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몸싸움을 벌였다. 모두들 핸드폰을 꺼내들고 오바마 사진을 찍을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가 마침내 모습을 보였을 때, 사람들은 모두 열광적으로 환호하거나, 구호를 외치거나 또는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 인도의 유명한 블로거인 그레이트봉(Greatbong)은 Random Thoughts Of A Demented Mind 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어떻게 대접받았는지를 다뤘다: 오바마의 인도 방문 소식을 접했을 때, 인도인들은 본능적으로 이번 방문을 지나칠 정도로 극성스럽게 준비 했습니다. 대통령 부부를 위한 특별 메시지를 준비하고 오바마를 기념하기 위한 접시를 만들었습니다.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스스로 미국 대통령에게 몸을 낮췄습니다. 막대한 양의 국민 세금이 이번 방문에 쓰였으며 그의 편의를 위해 시민들이 불편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뉴델리 조사 분석가이자 블로거인 바룬 딕싯(Varun Dixit )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이번 인도 방문 이유를 묻고 다음과 같이 평했다. 왜냐하면 그가 자국민들에게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고 있지만 월스트리트 회사들은 인도 진출이 가지고 올 장기적 이익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인들은 오바마 대통령의 파키스탄에 대한 입장에 대해 매우 궁금했다. 뭄바이의 굴람 무하마드(Ghulam Muhammed)에 따르면 오바마는 자신의 연설에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파키스탄이 평화적이며 안정적인 나라가 되는 것이 이웃국가인 인도에게도 최선이다라고 했습니다. 모든 영어 방송의 해설자들은 연설이 발표되는 중간에 공개적인 적대감을 표시했습니다. 타임즈오브인디아 워싱턴 특파원과 같은 강경파들은 그의 연설을 파키스탄 협박에 항복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A hoarding parodies Obama's Visit. Image via Twitpic user rushikeshgk 다음은 인도 트위터 유저들의 반응이다: aasthabiyani16: 여기저기서 오바마를 외쳐대는게 지겹다. 어이 라마(Raama) 제발 나를 이 웃기는 드라마에서 구해줘요. hopfans: 휴! 오바마가 잠잠해 졌으면 한다. gl/fb/hmKIO jhunjhunwala: 왜 이토록 인도 언론은 오바마에게 집단적인 오르가즘을 느끼는가? 제발 무슨 말이든 해봐라! 그레이트봉(Greatbong)은 오바마 매니아를 비판하며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 우리는 오바마 대통령의 방문을 다른 대통령 방문과 같이 취급해야 한다. 이번 방문은 미국이 인도를 얼마나 존중하는지를 보여주는 인증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오바마 행정부에게서 인도에 대한 존경 자체를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0.84521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0
Costa Rica: Border Conflict with Nicaragua What began as a simple cleaning or dredging of the San Juan River, the natural border between Costa Rica and Nicaragua, has resulted in a diplomatic and military conflict. San Juan River. Image by Flickr user Guillermo A. Durán, used under an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Generic Creative Commons license The government of Nicaragua decided to start dredging the San Juan river in order to ease the navigation of larger boats. This was not a problem, because the river belongs to them. But days after starting the work on the river, the government of Costa Rica realized that the materials extracted from the river were being deposited in Costa Rican territory. After Costa Rica complained about the issue, Nicaragua said that everything had been a mistake and that it would not happen again, but that was just the beginning of the problem. On November 1st, Costa Rican newspaper La Nación reported: "Government confirms incursion of Nicaraguan Army into national territory,"
코스타리카: 니카라과와의 국경선 분쟁 코스타리카와 니카라과의 자연 경계선인 산 후안 강 정화, 준설 작업으로만 시작했던 한 단순한 일이 외교적, 군사적 분쟁으로 발전해 버렸다. San Juan River. Image by Flickr user Guillermo A. Durán, used under an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 0 Generic Creative Commons license 니카라과 정부는 더 큰 배들의 항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산 후안 강의 준설 작업에 착수 했다. 산 후안 강 자체는 나카라과에 속한 것이니, 이 시도 자체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이 작업을 착수하고 몇 일이 지나지 않아, 코스타리카 정부는 강 (바닥)에서 추출한 물질이 코스타리카 영토에 축적되어 퇴적물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코스타리카가 이에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니카라과는 모든 것이 실수였다고 하고 이런일이 다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11월 1일 코스타 리카 유력지 La Nación 은 "니카라과 군대의 우리 영토 침범, 정부가 확인함" 이란 보도를 통해서,
0.74560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1
Shintaro Ishihara’s views on China, Japan Shintaro Ishihara is a politician, author and governor of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since 1999. He is well known for his critical stance on Japan’s dependence under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In 1989, he co-authored the book The Japan That Can Say No with then-Sony chairman Akio Morita. He is also critical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is known for his controversial support of Japanese nationalism, historical revisionism, and frequent visits of Yasukuni Shrine, which honors Japan’s war dead. Generally described as one of Japan’s most ‘far right’ politicians, he is often labelled in the Chinese media as ‘racist’, ‘nationalist’, ‘militarist’ and ‘anti-China.’ Earlier this week, the liberal Southern People Weekly publishes an interview with Shintaro Ishihara, which goes beyond the standardized labelling in the Chinese state media. Entitled ‘The Shintaro Ishihara that you do not know,’ the interview is also published online in the Southern Media Group and Tencent, but is now being deleted. Nevertheless, it could still be found on individual blogs. Below is a translation of excerpts from the interview. ‘I love Chinese culture, but no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이시하라 신타로가 보는 중국과 일본 이시하라 신타로는 작가이자, 1999년부터 도쿄시장이다. 그는 미-일 안보연합에서 일본이 독립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명해 졌다. 1989년에 그는 당시 소니의 회장이었던 아키오 모리타와 함께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 을 공저하였다. 그는 또한 중국정부에 비판적이고, 일본 민족주의와 역사 개정주의를 지지하며, 일본의 전쟁영웅들을 기리는 야스쿠니신사도 자주 참배한다. 보통 일본의 극우파 정치인이라고 지칭되는 이시하라선생을 중국매체에서는 ‘민족주의자’, ‘군국주의자’, ‘반중국정치인’ 이라고 부른다. 이번주 초에 주간남방인물 (잡지) 는 보통 중국매체에서 비추는 모습과 다른 모습의 이시하라 신타로를 취재하였다. ‘당신이 모르는 이시하라 신타로’라는 제목의 인터뷰는 남방미디어그룹(Southern Media Group)과 텐센트(Tencent) 인터넷 웹사이트에도 개제되었으나 현재 삭제되었다. 하지만, 그 내용은 여전히 몇 개인블로그에 포스트 되어있다. 아래에 나오는 내용은 인터뷰에서 발췌된 일부분이다. ‘나는 중국문화를 사랑하지만, 중국공산당은 싫다.
0.763672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2
Haiti: A life-saving video San Francisco-based physician and blogger Dr. Jan Gurley has visited Haiti twice since the January 12 earthquake to volunteer her services. Her second visit coincided with the cholera outbreak that has claimed hundreds of lives and caused thousands more to be hospitalised since the first case appeared on October 19, 2010. "Cholera is a lethal infection of hurricane proportions," writes Doc Gurley (as she's known in the blogosphere): You can die in as little as 3 hours, with your entire body’s amount of fluid coming out as stool. Socially, in Haiti, I found in February that there was already tremendous stigma attached to diarrhea. Not that surprising, really, if you think about the realities of living in a parking lot without a toilet while surrounded by hundreds of other people. And now there are concerns that cholera may have been brought to Haiti by the very international workers who came to help. Besides the devastating toll on lives (with reports ranging from 200 to Russian reports of 500 dead from cholera), how much current, and potential, good-will could such an event destroy? Doc Gurley looked around online for an instructional video on oral rehydration therapy (ORT) that she could leave with her Haitian colleagues and patients. A knowledge of ORT basics could save lives, as most deaths from cholera are in fact caused by dehydration. Doc Gurley reminds her readers that even in Haiti, video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spreading information: "People there have cell phones and texts, and everyone has an email address. Aid workers have smart phones that can show videos, and people there, just like here, love to gather ’round and watch the tiny screen." When her online searches yielded nothing but a single Hausa-language video and a handful of others covertly advertising Gatorade-style electrolyte drinks, Doc Gurley got a few friends together and made the video below. It's mostly wordless, making it suitable for use in any country, and depicts how to make oral rehydration salts "using only things that a person living in a sheet city would have", including PET water bottles and bottle caps: 4 caps sugar, 1 cap salt, 500ml clean water = life
아이티: 생명을 살리는 비디오 그녀의 두 번째 아이티 방문은 이 나라의 콜레라 창궐 시기에 맞아 떨어졌다. 10월 19일 첫 콜레라가 발병한 이후로 수백 명의 아이티인들이 사망했고 지금 수천 이상이 입원해 있다. 구알리 의사는 "콜레라는 허리케인 규모의 치명적 전염병입니다" 라고 적었다. (콜레라에 걸리면) 환자 몸 전체 만큼의 체액이 대변으로 쏟아나오게 되면서 환자는 3시간 내에 죽을 수 있어요. 이미 2월 쯤에 아이티에서 사회적으로 설사에 대해서 상당한 부정적 시각이 나타났어요. 그리 놀랄일도 아니죠- 수 백명의 사람들이 화장실도 없는 주차장에서 살았던 걸 감안하면요. 그리고 지금 아이티에는 국제 구호 (단체) 사람 들이 콜레라를 아이티에 들여왔다는 우려가 돌고 있어요. 구알리 의사는 온라인 상으로 경구 수분 공급 치료 (oral rehydration therapy:ORT) 대한 지도용 비디오를 찾아 다녔다. 그녀는 이 비디오를 아이티 동료와 환자들에게 남기고 오려고 하는데, 이는 경구 수분 공급 치료의 경우 이에 대한 기본적 지식만 있어도 목숨을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콜레라 환자들은 탈수에 의해 사망한다. 구알리 의사는 그녀의 독자들에게 아이티에서도 비디오는 정보를 퍼트리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있다고 상기시키며: "거기 사람들은 핸드폰과 문자를 사용할 수 있고, 모든 이들이 이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어요. 구호 (단체) 사람들은 스마트 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디오를 보여줄 수도 있어요. 여기 어떤 사람들과 마찬 가지로 여기 사람들도 '한데 모여서 조그만 스크린을 통해 화면을 보는 걸' 아주 좋아합니다. 처음 그녀가 치료 비디오를 검색해 봤을 때는 온라인 상에는 하우사(Hausa) 언어로 된 비디오 하나와 게토레이드류의 전해질 음료의 간접 광고 몇 개만이 있을 뿐이었다. 구알리 박사는 몇몇의 친구와 함께 아래의 비디오를 만들었다.
0.782227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3
Technology for Transparency: Government Accountability in India Corruption is a global threat. It affects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nd nonprofit and charitable organizations. Th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0 annual report recently pointed out that governments need to integrate anti-corruption measures in all spheres to fight corruption. It is evident that the world needs more than ever before a holistic approach to fight corruption, including battling its the causes, like poverty and weak governance. As the Technology for Transparency Network has mapped different transparency projects around the world, we have been excited to discover how enthusiasm for a more ethical and transparent society is flourishing everywhere, both with the increase use of technologies and with a growing awareness that corruption should not be tolerated by citizens. A protagonist of these changes is India, the largest, most diverse democracy in the world. India is a pioneer in open government and open access strategies with an exponentially increasing innovation in technologies.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the country that is producing the cheapest laptop in the world is also partnering with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o foster open government initiatives: India is at the vanguard of figuring out how to exploit technology and innovation on behalf of democratic accountability. U.S.-based groups, as well as those throughout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world, could learn an enormous amount from these efforts. And India may well become a kind of "city on the hill" that other countries look to for lessons on not only how to pull millions of people out of poverty, but also on how to strengthen democratic accountability. — US Open Government Blog Important to mention is that India is a federated state with a diversity of languages and realities. That is why many of the initiatives are focused on local transparency and how to hold local authorities accountable, such as the Accountability Initiative, the first case of our second round of global case studies. Project Director Yamini Aiyar shares the project's mission to improve public service delivery: Our big vision is to promote an informed and accountable public delivery system. We do this in two ways. For such a system to exist, the government system has to exist in a form that is transparent and responsive to citizens’ needs, and citizens must be empowered with information so they can place their demands and push for greater accountability. All our work is to pull these two threads together. PAISA and Expenditure Track are examples of that. The second aspect of our work is to generate debate on the accountability issue. Visit the Technology for Transparency website to explore other technology for transparency projects from India.
투명한 사회를 위한 기술: 인도 정부의 신뢰도 문제 부패는 국제적 위협이다. 부패는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 개인적, 공적 영역, 비영리적 단체와 자선 단체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매해 발표되는 국제 투명성 2010년 리포트는 최근 정부들이 부패를 척결하기 위해서 모든 영역에서 반-부패 방법을 통합시켜야 한다고 집어 말했다. 세계는 그 어느 때 보다도 가난한 사람들과 약자를 위한 부패 척결을 이뤄야 하며 이를 위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투명한 사회를 위한 기술'이 세계 각지에서 투명성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시킴에 따라, 세계 여러 곳에서 기술이 더 활발히 활용되었고 부패를 눈감아 줄 수 없다는 시민 의식이 자라났다. 이렇듯 세계 각지에서 보다 윤리적이고 투명한 사회가 성장해 나가는 것을 보는 건 매우 흥분 되는 일이었다. 이런 변화의 주인공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다양한 민주주의의 본산지인 인도이다. 열린 정부 분야와 더불어 현재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기술을 통한 오픈 액세스(:열린 접근) 전략 분야에서도 인도는 선각자이다. 이러한 추세는 이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싼 노트북을 생산하는 나라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인도는 미국 등지의 다른 나라와의 협력을 통해 열린 민주주의 이니셔티브를 배양해 나가고 있다. 인도는 어떻게 백만명의 사람들을 가난에서 구하고, 민주주의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는지 다른 나라에게 조언을 알려줄 수 있는 '산 위의 도시'(역자 주: 낭중지추 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고 본다. — 미국 열린 정부를 위한 블로그 여기서 인도가 다양한 언어와 삶의 모습을 가진 연방 정부라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두 번째 국제 연구의 첫 번째 케이스인 신뢰성 회복 이니셔티브 (Accountability Initiative) 가 이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프로젝트 담당자인 야미니 아이야르(Yamini Aiyar)는 이 프로젝트의 미션은 공공 서비스 조달의 향상이라고 말했다 : 우리의 원대한 꿈은 (국민들에게) 정보를 잘 제공하며 신뢰할 만한 공공 서비스 조달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살리기 위해 정부 시스템을 더 투명하고 시민의 필요에 반응하는 구조로 만들어야 하며, 시민들은 정보를 통해 더 힘을 부여 받고 그들의 필요를 잘 파악한 후에는 (정부에) 더 강화된 책임 의식을 요구하는 수준까지 이르러야 합니다. 우리의 모든 업무는 이 두 가지 타래를 잘 엮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PAISA 와 Expenditure Track 가 이 것의 좋은 예입니다. 우리 두 번째 업무는 신뢰성 문제에 대한 담론을 활성화 시키는 일입니다. '투명한 사회를 위한 기술' 싸이트에서 인도에서 일어나는 다른 투명성 프로젝트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
0.83935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4
China: Rising prices and rooftop gardens Following news of rising prices in China and Shenzhen shoppers traveling across the border to Hong Kong for cheaper goods, another recent trend, according to Shenzhen-based NetEase photoblogger CS Yilao, has seen people saving money by growing their own produce on rooftops: Hindu goddess Durga. The fifteen day long celebration honors the goddess Durga; who is symbol of power, prosperity, motherly love and also destruction of the evil. Nepalese around the world celebrate Dashain with gusto as it brings communities and families together. But, lately this beloved holiday has been criticized for a number of reasons but mainly animal cruelty. As goddess Durga is worshiped as symbol of power and also destroyer of evil, during Dashain animal sacrifice is practiced in temples across Nepal. The sacrifice symbolizes destruction of evil, and devotees hope that it pleases the goddess. It would still get the point across, but be much more humane (and less gruesome). Some are also pointing to the scriptures and calling on devotees that animal sacrifice is not in accordance to the Hindu principles. AnimalRights Nepal says that the goddess who is symbol of motherly love cannot be appeased by animal sacrifice, as she would be witnessing her own creatures being killed. Human beings are killing those innocent creatures for their own selfish motive. It is against Hindu religion and way of life, in reality. The respect that must exist for fellow living creatures must be maintained." In August the Battalion Pundit (Hindu Chaplain) visited the Gurkhas in Nahr-e Saraj, holding temple services and blessing each soldier with a tikka (red dot on the forehead). As with any religious observation, Dashain also comes with its own set of moral and ethical challenges, but we cannot ignore the immense joy and richness these observations bring to us while we deal with the challenges.
중국: 물가상승에 따른 새로운 현상- 옥상텃밭 중국의 물가상승과 심천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홍콩으로 싼 물건을 찾아 간다는 뉴스와 함께, 심천의 포토블로거 CS Yilao는 사람들이 옥상에 텃밭을 가꾸어 돈을 아끼는 새로운 현상에 대해 소개하였다. 힌두 여신 두르가. 네팔의 가장 큰 축제인 다사인은 15일동안 힘, 번영, 모성, 그리고 악을 파괴하는 여신인 두르가(Durga)를 기리는 행사이다. 올 해에는 10월 22일 금요일에 있었는데, 전 세계의 모든 네팔사람들은 온 가족이 한 마음이 되어 열정적으로 다사인을 기념한다. 하지만 요즘, 이 행사가 동물 학대를 비롯한 많은 문제점 때문에 지적받고 있다. 두르가가 힘과 악을 파괴하는 여신이기 때문에, 다사인 기간동안 네팔의 많은 사원에서는 동물을 제물로 바친다. 사람들은 이러한 제물이 악을 퇴치하는 것을 상징하며, 제물을 받는 여신이 기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작년에 많은 단체들은 공식적인 행사를 조직하여 사람들에게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것을 멈추라고 촉구하였다. 글로벌보이스에서도 이 내용을 ‘더욱 인도적인 다사인 축제를 위하여’라는 제목으로 다룬 적이 있다. 불행하게도, 이 관습은 계속 되고 있으며, 올해 다사인 기간에도 네팔 각지에서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모습이 여러차례 목격되었다. Change. org 의로라 골드만 (Laura Goldman) 은 제물을 바치는 사람들이 “다사인 기간동안 들소가 아닌 호박을 제물로 바쳐야 한다” 라고 제시하였다.
0.78271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5
Myanmar: Suu Kyi is free at last She has been in prison for 15 years in the past 21 years, but now she is free at last. Burmese pro-democracy icon and opposition leader Aung San Suu Kyi was released from detention by the military-backed government of Myanmar Saturday afternoon, a week after the holding of a nationwide election which was dominated by pro-administration candidates. The Democratic Voice of Burma was able to document the first few minutes of her release. This video shows Suu Kyi waving to supporters in front of her lakeside house. AUNG SAN SUU KYI RELEASED from DVBTV English on Vimeo. News spread out last Thursday that Suu Kyi will be freed this weekend on the date of expiration of her house arrest sentence. It was reported that she has signed the paper for her release around 12pm on that day. Even members of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Suu Kyi's party, started cleaning the headquarter's secretariat office in anticipation of her release. On Friday, there was a crowd of 500 or more people gathering in front of the NLD office in Yangon, all waiting for "Aunty Su's" release. A banner in front of the headquarters reads "Today's the Day of Her Release". More than 100 NLD members and supporters also donated blood at a local hospital to draw attention to her release. Suu Kyi's impending freedom was later doubted when the Burmese top court rejected her final appeal against her house arrest this Friday, making the people anxious whether she will be released or not. Meanwhile, Kim Aris, Aung San Su Kyi's son reportedly has gotten his visa approved to visit Myanmar. Now that Suu Kyi is free at last, independent media site The Irrawaddy urges its readers to submit suggestions and other ideas to Suu Kyi The world rejoiced when Suu Kyi, a Nobel Peace Prize winner, was freed from house arrest. Twitter users used the hashtag #aungsansuukyi as they joined the global conversation in celebrating Suu Kyi's freedom.
미얀마:아웅산 수치 드디어 석방 아웅산 수치 여사는 지난 21년 중 15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이제 그녀는 자유다. 미얀마(버마) 민주주의의 아이콘이며 야당 대표인 아웅산 수치는 전국구 선거가 종료 된 지 일 주일이 되는 시점인 이번 토요일 오후 부로 군부의 구류에서 풀려났다. 버마 민주의 소리(Democratic Voice of Burma)는 그녀의 석방 직 후 몇 분의 상황을 기록하였다. 이 비디오는 수치가 그녀의 호수변 자택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어 주는 장면을 보여준다. Vimeo 의 DVBTV English 가 제공한 아웅산 수치 석방 비디오. 이미 지난 목요일 부터 언론에서는 수치 여사가 요번 주 가택 연금 기간이 만료 되는 날 풀려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수치 여사는 그 날 정오에 석방 서류에 서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수치 여사의 지지당인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당원들은 그녀의 석방에 맞추어 본부 사무국을 청소했다고 알려졌다. 금요일에는 양곤시에 있는 NLD 당사 앞에서 500 이상의 사람들이 모여서 수치 여사의 석방을 기다렸다고 한다. 당 본사 앞에 걸린 깃발은 "오늘은 수치 여사님의 석방일"이라고 적혀있었다. 100명이 넘는 당원들과 지지자들은 그녀의 석방에 관심을 이끌기 위해서 근처 병원에서 헌혈하기도 했다. 수치 여사의 석방에 임박해 버마의 최고 법원이 금요일 가택 연금에 대한 여사의 최종 변론을 기각 함에 따라 잠시 석방 여부가 불투명해져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 와중 여사의 아들인 킴 아리스(Kim Aris)의 미얀마 방문 비자가 통과 되었다고 한다 . 이제 수치 여사는 드디어 자유다. 독립 미디어 사이트인 Irrawaddy 는 독자들에게 수치 여사에게 여러 조언과 아이디어를 제시해 달라고 부탁했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수치 여사의 석방에 전 세계가 함께 기뻐하고 있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aungsansuukyi 해쉬태그를 사용해서 수치 여사의 석방을 축하하는 세계적 담화에 참여했다.
0.739746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6
Colombia: Twitter Users Report On Clashes Between Armed Groups in Medellín Iglesia of Manrique, Medellín. Photo from flickr user laloking97, used under Generic Creative Commons License 2.0 Attribute-ShareAlike On the night of November 9th, in the Manrique Santa Inés sector of Medellín, Colombia, some explosions were heard that the majority of inhabitants associated with gun shots. Quickly Twitter messages appeared, including messages from the mayor of Medellin Alonso Salazar's official Twitter account; other tweets mentioned gunfire in other parts of the city as well. César Serna (@augustoserna) said:
콜롬비아:메델린에서 무장 그룹간의 충돌, 트위터 소식 Iglesia of Manrique, Medellín. Photo from flickr user laloking97, used under Generic Creative Commons License 2. 11월 9일 밤, 콜롬비아 메델린의 만리케 산타 이네스 (Manrique Santa Inés) 구역에서 어떤 폭발음이 들렸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이를 총격음으로 인지했고 이 소식은 트위터를 타고 빠르게 전해졌다. 이 뉴스를 다룬 트위터 계정 중에는 메델린시의 시장인 알론소 살라자(Alonso Salazar)의 공식 트위터도 포함되어 있었다. 세자르 세르나(César Serna) (@augustoserna)는:
0.86132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7
Taiwan: National dignity hurt in the Asian Games On November 17, a leading Taiwanese Taekwondo athlete Yang Shu-chun was disqualified from the 2010 Asian Games during a match with a Vietnamese competitor for "wearing non-certified electronic foot equipment" or "electronic socks". The incident has stirred up a lot of emotions in Taiwan. It became an online populist nationalistic outrage, with more than 27,000 angry Taiwanese Facebook users joining an online Anti-Rogue campaign. The controversial referee Engadget Chinese addresses the controversy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He points out that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socks" is to help the judge to record details of a successful attack in Taekwondo. Yang's "electronic socks" are an old version and may affect the recording. However, the judge could have issued a warning and asked her to change the equipment, instead of disqualifying her:
대만: 아시안 게임에서 자존심 구겨지다 11월 17일, 대만의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 양수쥔은 베트남 선수와의 대결 중 "불법 전자 호구" 를 착용했다는 이유로 2010 아시안 게임에서 실격당했다. 이 사건은 온라인 포퓰리즘과 연결된 후 국가적인 분노를 일으켰다. 2만 7천명 이상의 대만 페이스북 유저들의 분노는 온라인 안티 악당 캠페인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양수쥔이 더 잘한다는 것이 보인다. Orbisx는 포퓰리즘적 민족주의가 위선적이라고 밝혔다 : 가끔씩 대만 사람들은 정말 위선적이예요. 조국과 조국의 위상은 항상 짓밟히고, 국가정체성도 엉망인데도 사람들은 거의 신경도 안쓰죠. 그런데 선수에게 무슨 일만 일어나면 사람들은 우리 나라가 망했다는 것처럼 생각해요. 아니면 소셜 네트워크의 포퓰리즘이 부족화(:tribalization)를 부추기게 될 것인가?
0.725586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8
Iran: World's Youngest Detained Blogger on Trial The Iranian government is not only world-class when it comes to persecuting bloggers, they have also set numerous records: from the first jailed blogger in history, to the first blogger to die in prison. Unfortunately, a new record can now be added to the list of Iran's repressive achievements: the youngest blogger to be detained and put on trial. Reporters without Borders (RSF) writes that the world’s youngest detained blogger, 18-year-old Navid Mohebbi, is currently being tried behind closed doors before a revolutionary court in the northern city of Amol. His lawyer is not being allowed to attend the trial, which began on 14 November. According to RSF, Mohebbi has been accused of “activities contrary to national security” and “insulting the Islamic Republic’s founder and current leader (...) by means of foreign media.” Change for Equality, a website supporting women's rights, says more than 250 bloggers and women’s and civil rights activists have issued a statement demanding the immediate and unconditional release of Navid Mohebbi. As a young blogger, Navid shares both his life and ideas in his blog. In 2009, he wrote about doing sports, going to school, and even having a small operation on his nose. “It has little bit deviation, but it can become little bit nicer.” Navid wrote that he and his friends studied hard for university entry exams and that he read books on civil disobedience, democracy and The Second Sex by Simone de Beauvoir. He was finally accepted to Tehran’s Azad University to study political science. Now he is being held in the public ward of the prison in the city of Sari. In March 2009, Navid wrote in his blog: "...the intelligence office in Amol called my father and threatened me. These calls are illegal. Security forces in all countries are supposed to protect the citizens but here they are doing the opposite. In one post from last winter, Navid wrote that he was arrested for no reason in the street. After a few hours he was released when he gave away his email and blog passwords. He was also ordered to report for interrogation at any moment he was called. Navid writes : The law is what your interrogator decides it to be. Your final judgment depends on Ministry of Intelligence orders rather than the country's judicial system... Then I came home and asked myself, when they will ever want to improve their behaviour. The answer to Navid's question is unfortunately, not so soon. Iran has a long history of persecuting bloggers and sentencing them to long years of jail - and in once case alsowhip lashes. Read more on the Iran page of Threatened Voices.
이란: 세계에서 가장 어린 나이에 구류된 블로거 법정에 서다 블로거들 탄압에 있어서 이란 정부는 세계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세계 기록을 여럿 세운 바 있다. 역사상 최초로 블로거를 감옥에 가두었고, 최초로 감옥에서 죽은 블로거가 이란에서 나왔다. 이란 정부의 억압 성과에 불행히도 새로운 기록이 하나 더해질 예정이다: 바로 '가장 어린 나이에 구류된 블로거', 그는 이제 재판을 앞두고 있다. 국경없는 기자회 (RSF) 는 최연소의 나이에 구류된 블로거인 18세의 나비드 모헤비(Navid Mohebbi)에 대해 말하며, 그가 현재 암볼의 북쪽 도시에 있는 혁명 법원에서 비공개로 판결을 받고 있다고 적었다. 법원은 11월 14일 부로 시작하는 재판에 그의 변호사 출석을 불허했다. 국경없는 기자회에 따르면 모헤비는 "국가 보안법에 반하는 행위"를 하였고 "외신을 통해 이슬람 공화국의 창립자와 현 지도자를 비방"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고 한다. '평등을 위한 변화'에서는 250명이 넘는 블로거와 여성, 시민 권익 행동가들이 나비드 모하비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다고 말했다. 젊은 블로거로서 나비드는 그의 블로그에 그의 인생과 생각을 나눴다. 나비드는 2009년 자신의 블로그에 운동을 하고, 학교를 다닌 (소소한) 이야기들과 함께 심지어 코에 작은 수술을 한 후 "약간 빗나간 것 처럼도 보이지만, 그래도 코가 좀 나아보여요. 나비드는 친구들과 함께 대입 시험 공부를 열심해 했으며 시민 불복종과 민주주의에 대한 서적들과 시몬 드 보브와르의 제 2의 성을 읽었다고 적었다. 나비드는 결국 테헤란의 아자드 대학교 정치학과에 합격했다. 그러나 지금, 그는 사리(Sari)시의 감옥 일반 수감실에 갇혀있다. 2009년 3월, 나비드는 블로그에 이렇게 적었다. 아몰의 정보부가 우리 아버지에게 전화를 해서는 나를 협박했다. 이러한 전화 통화는 (엄연히) 불법이다. 모든 나라의 안보 당국은 시민들을 보호하려 하지만, 여기 이들은 정반대의 일을 하고 있다. 또한 그는 (안보부에서) 전화로 출두를 명령할 시에는 어느 때라도 심문에 응할 것을 강요받았다. 나비드는 또 이렇게 적고 있다 : 법은 심문자들이 정하는 것이다. 최후 판결은 이 나라의 사법 시스템 손에 달린 것이 아닌 정보국의 명령에 달렸다. . 나는 집에 돌아와서 자문해 보았다. 도대체 언제쯤이 되서야 이런 행동이 나아질까. 아니, 나아지긴 할 건가. 불행히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들으려면 좀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이란은 블로거를 박해하고 그들에게 긴 형량을 판결하는 것으로 역사가 깊다. 심지어 어떤 경우는 채찍형을 행하기도 했다.
0.86718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29
The Invisible Border Between Ecuador and Colombia The Colombia-Ecuador border is once again a contentious issue. Both countries have a border of 586 km (about 365 miles) and with it a long history of conflict, mutual accusations and reports of armed conflict and displacement. The death of Raúl Reyes, a member of the Colombian rebel group FARC (Revolutionary Armed Forces of Colombia), is perhaps the border’s most well known incident. Reyes died on Ecuadorian territory in March 2008 during a Colombian attack on a FARC base in Angostura, as bc10 recalls. Other serious border issues are insecurity and fear, reports El radar de la frontera . The blog La Historia del Día reports that crimes committed in the area happen in an environment of impunity. Since Sunday September 19, Twitter users and news channels in both countries have announced, with differing statistics, the number of dead in the latest incident on the border in which FARC members died during an attack by Colombian armed forces, as infobae.com states: “Up to 60 guerillas have died on the border between Ecuador and Colombia. Reactions from the Ecuadorian side have varied. Twitter users retort the idea that Ecuador would not have supported the Colombian military, as shown in a link posted by Douglas Weber (@HCJBVozAndes)
에콰도르와 콜롬비아: 보이지 않는 국경선 문제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의 국경 문제가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586 킬로미터 (약 365마일)의 국경으로 맞닿아있는 두 국가는 서로 간 분쟁과 비난, 심지어 무력 충돌과 실종 문제를 오래 전부터 겪어왔다. 라울 레예스(Raúl Reyes)는 콜롬비아의 반군단체인 FARC (콜롬비아 무장 혁명군)의 일원이었다. 그의 죽음은 아마도 두 국가의 국경 분쟁 중 가장 잘 알려진 사건일 것이다. 레예스는 에콰도르 영토에서 2008년 3월 죽음을 맞았다. El radar de la frontera 는 또 다른 심각한 영토분쟁의 예로는 불안정감과 공포가 있다고 보도한다. 그러나 블로그 La Historia del Día 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일어나는 범죄는 처벌 대상이 아니라고 한다. 9월 19일 월요일부터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의 트위터 사용자들과 뉴스 채널들은 각기 다른 자료를 인용하여 콜롬비아 군대가 FARC 기지를 공격한 사건, 즉 가장 최근 국경 지대에서 일어난 사건의 사망자 수를 발표했다. infobae. com 의 발표에 따르면 “에콰도르의 콜롬비아의 국경지역에서 최대 60명의 반군들이 죽었다”고 한다. 에콰도르 측의 반응은 다양했다. 이 프로젝트로 인해 위험에 빠지는 것은 Kofanes 부족 뿐만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0.834473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0
Kurdistance: The Hypocrisy of Defending Turkey As there is an increase of support for both Turkey and Palestine in the wake of the Israeli raid on the Gaza Freedom Flotilla, Kurdish bloggers caution against supporting a country whose human rights record leaves much to be desired. Esra'a blogging for MidEast Youth starts this conversation: Iran and Turkey are everywhere in the Arab media, praised as heroes, with Turkish and Iranian flags held high in almost every flotilla protest. This is disturbing for me, and I’m sure it’s even more disturbing for the millions of individuals who have suffered and continue to suffer under these regimes. Who is the Turkish government referring to when Erdogan says “human rights for all” and “thou shalt not kill?” Who?
쿠르드: 터키의 위선 이스라엘의 가자 구호선 공격 사건(가자 구호함대, Flotilla 사건)과 관련해 터키와 팔레스타인 양 국에 대한 지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쿠르드 블로거들은 인권 탑압에 있어 전적이 화려한 터키를 지지하는 것에 대해 경고를 표했다. MidEast Youth에서 블로깅을 하는 에스라(Esra)가 이 대화를 시작하였다.
0.77685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1
Qatar: Excitement, Apprehension Build as World Cup Decision Nears Fans rally to support Qatar's 2022 World Cup bid. Photo credit: http://www.qatar2022bid.com/ Two weeks ahead of FIFA's December 2 decision on which country will host the 2022 World Cup, fans in Qatar are trying to keep up with a flurry of speculation about its chances and are turning to the world wide web for comfort. For the past few months, media reports have alternately identified Qatar as a long shot and a favorite of the FIFA inspection team, for a variety of reasons. But concerns over the desert country's tiny size and scorching summers, which can reach up to 50 degrees Celsius, continue to grow. A FIFA report released earlier this week branded Qatar as the only "high-risk" candidate among the nine bidding countries for 2022. As one FIFA executive put it, "You can air-condition a stadium, but I don't see how you can air-condition an entire country." That comment, made by Chuck Blazer, the sole American member of FIFA's executive committee, set off a storm of responses on Twitter. @lastingvalues said: Dude is from the US and right now its US v. Qatar for 2022. Obviously he's gonna say "Qatar sux." @qatar65 noted: QATAR will b a great host for the world cup 2022...Qatar will make it the best ever I'm a Palestinian born in Doha and LOVE QATAR And @zippyapplelips responded: ...CHALLENGE ACCEPTED. RT @dohanews FIFA exec - "You can air condition a stadium, but I don't see how you can air-condition a...country" The official response in Qatar was more muted initially, and then less so, reports one sports correspondent. @james_Corbett said: Qatar bid team furious. Casts serious doubts over their chances. On the bid's Facebook page, even more people voiced their support. Syedahmed Quadri said: Qatar will win as it will be the first Arab nation to host such a prestigious world event. Qatar has resources and the zeal and enthusiasm to host this event. Some were more pragmatic. @a77med stated: too bad last summer was skin blistering. Can't argue against that. And others, like the London Telegraph's chief soccer writer, Henry Winter, were just plain rude. @HenryWinter said: "Best bid for 2022 is Australia. Obvious. Legacy, fun, facilities, atmosphere, it has to be Oz. Fact." Following FIFA's disheartening report, Manchester United manager Alex Ferguson threw his support behind Qatar's bid, saying he was particularly impressed with the country's plans for its climate-controlled stadiums. After the finals, Qatar said it will dismantle and ship them to developing nations to be reconstructed for their own use. A few other developments this week: Qatar hosted an exciting friendly match between Brazil and Argentina on Wednesday, which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would give the country "another chance to endear themselves to the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federations—both of whom sit on the 24-member executive committee that makes the final vote." Indeed, Argentina's football coach did express support for the bid. On Twitter, @abdalla_abdalla said: RT @PeninsulaQatar: Argentina coach backs #Qatar’s World Cup bid http://bit.ly/9F95nl (expand) #worldcup On the popular social forum Qatar Living, commenter HDY wrote: After the spectacular football match between Argentina and Brazil I would like to thank the organizers for their efforts and of course the security guards for their friendly attitude. As a result, Qatar is surely capable of sponsoring the world cup 2022 in a very professional manner and will successfully secure all its necessities in terms of playgrounds, infrastructure, side events, family atmosphere and hospitality. On the opposite end, commenter whyteknight replied: Are you kidding me??? They first let in the locals out of line, then all the "Families" means anyone accompanied by a female.. Meanwhile they were pushing the single guys away from the entrance not letting them enter even though we were standing in the line for over an hour while the ones accompanied by females could simply walk in and enter.. Only after there were no females left did they allow us to enter, that too as if a huge favour was done to us.. Finally, on Thursday, FIFA's ethics committee cleared Qatar on separate corruption and collusion claims.
카타르: 월드컵 개최국 선정 가까워지며 희비 교차 Fans rally to support Qatar 12월 2일로 예정 된 국제축구연맹(FIFA)의 2022년 월드컵 개최국 발표를 앞두고 카타르 팬들은 자국 개최 가능성에 대한 여러 가지 소문에 관심을 가지며 인터넷에서 위안을 찾고 있다. 지난 몇 달간, 언론은 카타르를 개최 가능성이 낮은 후보지라고 하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카타르가 FIFA 실사단의 우선 검사 후보가 되었다고 보도해 왔다. 그럼에도 작은 영토와 50도를 넘나드는 불볕더위에 대한 우려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번 주 초에 FIFA 에서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FIFA는 9개 후보 국가 중 유일하게 카타르 만을 “고위험군” 후보지로 지목했다. FIFA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면 “경기장에 온도는 조절할 수 있지만 나라 전체 온도는 어쩔 수 없다. FIFA 상임위원회 위원 중 유일한 미국인 척 블레이저(Chuck Blazer)는 이번 개최국 선정과 관련한 발언으로 트위터에서 누리꾼들의 뜨거운 논란을 불러왔다. @lastingvalues 말했다: 척 블레이저 의원 때문에 이번 개최국 선정 자체가 미국 대 카타르의 대결로 변했다. 물론 그는 카타르를 평가 절하할 것이 분명하다. @qatar65 말했다: 카타르는 최고의 개최국이 될 거다. 분명 잘해낼 거라 믿는다. @zippyapplelips 답했다: FIFA 고위층 “경기장에 온도는 조절할 수 있지만 나라 전체 온도는 어쩔 수 없지 않냐” 도전 접수 완료! 스포츠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처음에는 침묵을 지키던 카타르가 공식 반응을 조금씩 보여주고 있다. @james_Corbett 말했다: 분노에 가득 찬 카타르 월드컵 준비위원회 카타르 유치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하지만 준비위원회 페이스북 페이지에는 많은 사람들이 응원의 글을 남겼다. Syedahmed Quadri는 말했다: 카타르는 세계 최고의 스포츠 행사인 월드컵을 개최하는 최초의 아랍국가가 될 거다. 우리는 월드컵 유치에 필요한 풍부한 자원과 열의와 열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 문제에 대해 조금 더 실용적으로 바라보는 의견도 있었다. @a77med 말했다: 지난 여름이 덥긴 더웠다. 날씨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 런던 텔레그래프(London Telegraph) 축구전문 수석 기자 헨리 윈터(Henry Winter)는 거침없는 말을 남겼다. @HenryWinter 말했다: "문화적 유산, 재미, 시설, 기후 등 모든 면에서 최고의 개최국은 당연히 호주이다. 카타르의 찜통 더위와 무미 건조함은 호주의 그것과 비교조차 불가능하다" FIFA의 이런 부정적인 보고서 이후, 영국 프리미어 리그 알렉스 퍼거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은 카타르의 냉방 축구장 계획에 큰 감명을 받았다며 카타르의 월드컵 개최를 응원했다. 한편 카타르는 냉방 축구장 계획과 관련해서 결승전이 끝나면 경기장은 해체 후 개발 도상국에 전달해서 재건축에 쓰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음은 이번 주에 전해진 소식이다: 지난 수요일 카타르에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친선경기가 벌어졌는데 FIFA 상임위원회 위원 24명이 양국 출신으로 최종 투표에 참여한다. 미국 월 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에도 다뤄졌던 이번 경기는 카타르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아르헨티나 축구 코치는 지지 의사를 밝힌바 있다. @abdalla_abdalla 트위터에서 말했다: 환상적인 양국의 친선경기 이후 저는 이번 경기를 준비해 주신 모든 분들의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무엇보다 경호원들의 친절한 태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번 일로 카타르는 2022년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그리고 경기장, 기간시설, 부대행사, 가족적인 분위기와 환대 등 월드컵 유치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갖출 것입니다. 반대의견으로 whyteknight가 이렇게 말했다: 농담이시겠지? 이번 경기 주최측은 처음에는 지역주민을 우선으로 입장시키더니 다음으로 여성 동반 관중을 입장시켰다. 반면에 혼자 경기장을 찾은 남성 관중들은 입장문 밖으로 쫓겨나서 한 시간 반 동안 기다리게 했다. 여성 관중이 모두 입장한 후에야 남겨진 우리를 입장시키면서 그 사람들은 마치 큰 선심을 쓰듯이 행동했다. FIFA 윤리 위원회는 카타르를 부패 및 공모결탁 혐의에서 결국 제외시켰다.
0.860352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2
Fiji: Government explains deportation of Fiji Water boss David Roth, Fiji Water’s local representative, was kicked out of Fiji because he was interfering with the country’s internal affairs, says military leader Frank Bainimarama. Bainimarama, speaking over the weekend during a trip to China, said Roth was acting in contradiction to his work visa. He did not elaborate on details, but Fiji’s leader said the representative to the US-based premium water firm was “had been acting in a manner prejudicial to good governance and public order by interfering in the domestic affairs and governance of Fiji.” Photo from Flickr by dlisbonaSince Roth left the country November 18, Fiji’s government has tried to paint the squabble as an issue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state. Permanent Secretary for Information, Sharon Smith-Johns said the government was not targeting the multi-million dollar water company that bears the country’s name. She also reassured the business community of the islands’ favorable investment climate. Taxing situation Fiji Water began distributing to the United States in 1997 and can now be found in 40 countries. The company was bought for an estimated $50 million USD in 2004 by the US billionaires Stewart and Lynda Resnick. That year it won the US Secretary of State’s Award for Corporate Excellence for bringing sustainable jobs to Fiji. Fiji Water currently ships $150 million USD per year, employs 350 local workers and spends an estimated $1.3 million USD a year on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this is a lot less than the 30 per cent corporate tax it would normally pay,” Hamish McDonald wrote in the Sydney Morning Herald. Fiji’s government originally provided the start-up company with tax free status until 2008. That year the Bainimarama government proposed 20 cent per litre tax over all water bottled in the country. Bottlers bristled at this and Fiji Water shut down its plant in the Yaqara valley for a few days during the dispute, which the government eventually backed down. With a $150 million bond payment coming due next year for Fiji’s government, McDonald speculates Bainimarama could be re-thinking the tax plan. However, the action is not unanimous. Ratu Epeli Ganilau, Fiji’s minister of Defense and Immigration, resigned from the government, claiming differences stemming from the Roth affair. Rumors persist that he was ordered to sign Roth’s deportation papers and refused. Paradise for business? Crosbie Walsh, author of Fiji: The Way it Was, Is and Can Be, said the government did itself a great disservice in the Roth affair. I have to agree with readers that whatever the cause, Government has made a serious mistake in deporting the Fiji Water CEO. If he was really interfering in Fiji's internal affairs in a major way, whether it was purely personal or whether it was a tax issue involving Fiji Water, is beside the point. The matter could have been dealt with much better, and at a better time. It would seem Government is unable or unwilling to handle criticism or questioning of its position without over-reaction. The signal they have sent to investor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not very reassuring, especially with Fiji Water being an American company and America's recently inferred more conciliatory towards Fiji. Kid gloves are needed in diplomacy not mailed fists. Walsh does concede that this situation could be similar to the recent standoff between Warner Brothers and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over the US-based entertainment company's refusal to pay taxes (and follow labor laws) if it decided to make two films based on the Hobbit in the country. In the end, the government ceded to many of Warner Bros. demands to keep production in New Zealand. In a comment, Proud Fijian partially agreed. Only difference is Warner Bros has a choice to take the movie elsewhere. Fiji Water is Fiji Water. We need investors in Fiji who are willing to contribute to the economy in paying taxes. What makes us think that this will stop investors coming to Fiji. Actually by doing this we choose who we want as business partners to invest in Fiji- ethical companies with a win-win approach. In Fiji Board Exiles, real jack argues Fiji’s government has hurt itself toward outside investors by making the fight personal. yesterday Sharon Jones made a release saying that they will explain to the business community that the situation with Roth is merely between the Govt and Roth. tsk tsk tsk - its probably the stupidest statement she has ever made - she doesn't seem to realise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at statement - what she is basically saying is that the Govt can target individual persons and that once the govt targets individual persons like Roth there is no right of recourse to the law or the Court - which is exactly whats happened to Roth. this is a terrible statement for a govt to make - because it means that Govt is in the business of persecuting people - that Roths removal was persecution. In Fiji Today, sa rauta vinaka said Roth should have been fighting a different battle. I mite share some sympathy for Roth’s expulsion if he had lobbied for a quick return to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and democracy for the people of Fiji INSTEAD of using his paid dumb stoogies (ganiluas & naulukaus) to keep all his freeby arrangements with the IG. As for the sponsorships they’ve done around the country, my neighbour tells me that is peanuts and loose change for them. Photo form the Flickr page of dlisbona
피지: 정부의 '피지 워터' 대표 추방 사유 ‘피지 워터’의 피지 현지 대표인 데이비드 로스(David Roth)가 내정간섭을 했다는 이유로 피지에서 추방 당했다고 피지의 군총사령관이자 총리인 프랭크 바이니마라마(Frank Bainimarama)가 말했다. 바이니마라마 총리는 중국 방문 기간 동안 가진 인터뷰에서 로스가 취업비자 규정에 어긋나는 행동을 해왔다고 말했다. 총리는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미국에 본부를 둔 고급 생수 회사의 대표인 로스가 “피지의 내정과 통치에 간섭함으로써 피지정부의 좋은 통치를 방해하고 사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동을 해왔었다”고 말했다. Photo from Flickr by dlisbona 피지 정부는 11월 18일에 로스가 피지를 떠난 뒤로 이 다툼을 개인과 국가간의 문제로 그리려는 시도를 했다. 공보담당 사무차관 섀런 스미스존스(Sharon Smith-Johns)는 피지 정부가 ‘피지 워터’를 타깃으로 삼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또한 스미스존스는 피지의 투자 환경 전망은 순조롭다며 재계를 안심시켰다. 세금 문제 ‘피지 워터’는 1997년 미국에 납품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40개의 국가에 납품하고 있다. 2004년에 ‘피지 워터’는 미국의 억만장자인 스튜어트 레스닉과 린다 레스닉 부부에게 약 5천만 달러에 매수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피지에 지속적인 직업창출을 불러왔다는 점을 높이 평가 받아 미 국무장관 배 우수한 기업 상을 수상했다. ‘피지 워터’는 매년 1억 5천만 달러를 피지로 보내고 350명의 현지인을 고용하며 개발사업 비용으로130만 달러를 소비한다. “그러나 이는 원래 기업이 내야 하는 30%의 법인세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라고 해미쉬 맥도널드(Hamish McDonald)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에 실린 기사에서 설명한다. 피지 정부는 ‘피지 워터’가 처음 사업을 시작했을 당시 2008년까지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2008년이 되자 바이니마라마 정부는 피지 내에서 생산하는 모든 생수에 리터당 20%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제안했다. 생수 회사들은 이에 반발했고 ‘피지 워터’는 세금 논쟁이 불거진 후 며칠 동안 야가라 밸리(Yagara valley)에 위치한 공장 문을 닫아 정부가 한발 물러나게 만들었다. 피지 정부가 ‘피지 워터’에 1억 5천만 달러를 갚아야 하는 시기가 1년 뒤로 가까워져 오는 이 시점에, 맥도널드는 바이나마라마 정부가 세금 안을 수정하려 할 수도 있다는 추측을 내놓았다. 그러나 모두가 정부의 뜻에 만장일치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피지의 라투 이펠리 가닐라우(Ratu Epeli Ganilau) 국방부 장관은 로스 사안에 관련된 의견 차가 있다는 주장을 하며 정부직에서 사임했다. 그가 로스를 강제 추방하라는 명령을 거부했다는 루머는 좀처럼 가시질 않고 있다. 기업들의 낙원? ‘피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저자 크로스비 월시(Crosbie Walsh)는 피지 정부의 이 번 로스 사안 관련 조치는 되려 정부에 해가 됐다고 말했다. 저는 피지 정부의 이유가 뭐였든 간에 ‘피지 워터’의 대표를 강제 추방 시킨 것이 정부의 큰 실수였다는 독자들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만약 그가 실제로 피지의 내정에 지나치게 간섭하고 있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였건 혹은 ‘피지 워터’의 관세에 관련된 문제였건 간에, 이는 추방 사유가 될 수조차 없습니다. 저는 이 문제가 훨씬 더 나은 방식으로 더 나은 시기에 해결될 수도 있었다고 봅니다. 피지 정부는 지나치게 반응하지 않고서는 정부 입장에 관한 비판과 질의를 받아들일 능력이 없거나 혹은 그럴 의지가 없는 듯 보입니다. 그들이 투자자들과 국제 사회에 보여준 신호는 그다지 믿음직스럽지 못합니다- 특히 ‘피지 워터’가 미국 회사라는 점과 최근 미국 정부가 피지에 회유적인 태도를 보여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요. 외교는 보다 신중이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입니다. 월시는 최근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thers)와 뉴질랜드 정부 간에 있었던 대치상태와 비슷하다는 점에 수긍했다. 미국 기반의 ‘워너 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는 뉴질랜드에서 영화 ‘호빗’ 두 편을 촬영한다는 조건 하에 세금을 납부하는 것과 노동법을 따르는 것을 거부했다. 결국 뉴질랜드 정부는 영화제작이 뉴질랜드에서 이뤄지게 하기 위해서 ‘워너 브라더스’의 요구를 들어줄 수 밖에 없었다. 기사에 실린 코멘트에 ID: Proud Fijian는 위 의견에 부분적으로 동의했다. 단 한가지 다른 점이라면 ‘워너 브라더스’는 다른 나라에서 영화를 촬영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는 거지. ‘피지 워터’는 피지에서 물을 얻는 수 밖에 없고. 웹사이트Fiji Board Exiles에서 ID: real jack은 피지 정부는 이 다툼을 ‘개인적인’ 것이라 명명함으로써 해외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줬다고 말한다. 어제 국방부 장관 섀런 존스는 이번 문제는 피지 정부와 로스 간에 개인적인 문제일 뿐이라고 재계에 설명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그녀는 자신의 발표가 가지는 영향력과 그 의미를 모르는 모양이야. 저 말은 즉 피지 정부는 어떤 개인이든 타깃으로 삼을 수 있다는 말인 동시에 정부가 로스 같은 개인을 타깃으로 삼게 된다면 그 개인은 법이나 법정에 호소할 권리 따위는 없다는 의미다. Fiji Today에서 사 라우타 비나카(sa rauta vinaka)는 로스가 맞닥뜨렸어야 할 문제는 따로 있었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이건 피지 정부가 ‘민간인 박해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또 로스의 추방은 박해의 일부였다는 뜻이 되잖아. Fiji Today에서 사 라우타 비나카(sa rauta vinaka)는 로스가 맞닥뜨렸어야 할 문제는 따로 있었다고 말했다. 로스가 만약 빨리 국회로 돌아오고자 하는 마음에서, 혹은 정말 피지의 민주화를 로비를 했다면 그에 대해 조금 동정하는 마음이 생겼을 지도 몰라. 하지만 그는 단지 IG와의 계약을 유지하기 위해서 멍청한 똘마니들을 고용했을 뿐이잖아.
0.81689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3
Singapore: Wikileaks and the “flabby old chap” comment Apparently, Singapore’s former Prime Minister and currently Minister Mentor Lee Kuan Yew thinks North Korea leader Kim Jong-il is a “flabby old chap who prances around stadiums seeking adulation.” This was revealed when Wikileaks uploaded thousands of documents exposing classified communication between the US State Departments and its embassies around the world. It seems Lee made the comment when he met US Deputy Secretary of State James Steinberg at the Istana (presidential palace) in Singapore on May 30, 2009. Lee commented on many issues but it was his opinion about North Korea and Kim Jong-il that captured global attention. are psychopathic types, with a “flabby old chap” for a leader who prances around stadiums seeking adulation. MM Lee noted that he had learned from living through three and a half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in Singapore that people will obey authorities who can deny them food, clothing and medicine.” “Kim Jong-Il has already had a stroke. It is just a matter of time before he has another stroke. The next leader may not have the gumption or the bile of his father or grandfather. He may not be prepared to see people die like flies. What are the reactions of Singapore bloggers? Many were surprised that Lee, a seasoned diplomat, would use those unflattering words to describe another leader. Referring to Lee’s observation that denying people of basic services would strengthen a leader, Singapore Notes made this comment Now we know why no food stamps will ever be distributed in Singapore, and healthcare will never be free Words of the Cze thinks that some citizens of Singapore would find Kim Jong-Il and Lee to be similar in many ways There are doubtless many who would jump to point out that his remark regarding the elder Kim’s propensity to “prance around stadiums seeking adulation” is ironic, insinuating that LKY is himself not much different. I beg to differ. LKY has shown consistently in word and deed that he wouldn’t take offence at being called a “flabby old chap”. Try calling him a “flabby old cronyist” however, and the next thing you hear might be the banging of the judge’s gavel. The blogger adds that the leaked cable report confirms the influence of Lee on US policymakers and how his views are still valued by the Americans The WikiLeaks cable report definitely confirms an anecdote pretty much the vast majority of Singaporeans subscribe to; that old LKY is still very much an active mind. His counsel, whether we value it or not, is valued by others. He is pretty much to the G8 and BRIC what Che Guevara must had been to South American revolutionaries, or Bismarck to to the rest of his contemporary Europe Christopher Ong ponders if more cable reports of this kind are needed by Singapore But do we need the leaking of more US cables concerning Singapore — information that may, in any angle considered, compromise the integrity of some vital operation — to drive home the fundamental truth upon which Wikileaks is established upon? The answer is no. Singapore Kopi Tok also assesses the impact of Wikileaks Were Assange's leaks irresponsible? The jury is still out on this but common sense is that there is a limit to what information should be confidential and what should not. Lawyer-client and doctor-patient information, insider trading as illegal, and a country's military and security information are all different common sense examples that information is not a free-for-all show and tell, and that consequences to such disclosures are expected. Musings from the Lion City is not impressed with the documents exposed by Wikileaks Today is supposed to be D-Day for the US State Department as whistleblower website WikiLeaks released hundred of thousands secret confidential cables. After reading some of the more high profile cases I can’t help but say, “That’s it? This is what they were worried about?” Outside the embarrassment factor, I fail to see what’s so amazing about the cables released by WikiLeaks Twitter reactions from Singapore teddyrised: Why is Wikileaks being made the scapegoat for those cables? Julian Assange didn't put words into your mouth. You idiots said it yourselves. senthilnath: RT @sivadayalan: Julian Assange could have won the Nobel prize if and only he publishes wikileaks of China, Russia (non US aligned countries) #wikileaks lYuxiang: OH shooots, why am I reading wikileaks instead of doing my tutorials abietabilly: RT @pravityo: RT @agungisme: everyone liked wikileaks till they found out their secrets are being revealed too LOL tuckiesmalls: it blows my mind how some people can support wikileaks and the 2 idiots behind it
싱가포르: 위키리크스와 "김정일은 무기력한 늙은이" 발언 싱가포르의 전 총리이자 현채 총리 고문인 리콴유는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이 "(자신에 대한) 찬사를 바라면서 경기장 근처에서 날뛰는 무기력한 늙은이" 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사실은 위키리크스가 미 국무부가 세계 곳곳에 주재하는 미 대사관들과나눈 기밀 정보들을 폭로하는 문서들을 업로드하면서 밝혀졌다. 이 발언은 리콴유가 2009년 5월 30일 이스타나 (대통령궁) 에서 미 국무부 부장관 제임스 스테인버그와 가진 만남 도중에 나온것으로 보인다. 리콴유는 말한 많은 이슈들 중 특히 북한과 김정일의 관한 그의 의견이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 (자신에 대한) 찬사를 바라면서 경기장 근처에서 날뛰는 "무기력한 늙은이" 를 지도자로 둔 사이코패스적 경향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리콴유는 싱가포르에서 3년 반 동안의 일제통치 치하를 겪으면서 사람들이 그들에게 식량, 옷 그리고 약을 뺏어갈 수 있는 관료들에게 복종할 것이라는 걸 배웠다고 밝혔다. ” “김정일은 벌써 한번 (뇌졸증으로 인한) 발작을 일으켰어요. 한번 더 발작이 일어나는 건 시간 문제죠. 다음 지도자는 그의 아버지나 할아버지와 같은 의기나 뚝심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는 사람들이 파리처럼 죽어나가는 걸 볼 준비가 안 되어있을 수 있어요. 싱가포르 블로거들은 이에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은 노련한 외교관인 리콴유가 그런 외교적이지 않은 단어를 써가며 다른 지도자를 묘사했다는 것에 놀라움을 표시했다.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복지를 빼앗는 것이 지도자의 권력을 더 강화한다는 리콴유의 발언에 대해, 싱가포르 노트 는 이런 말 을 남겼다: 이제 우리는 왜 싱가포르에서 식권이 배급되지 않고 건강관리도 무료가 되지 않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워즈 오브 체 (Words of the Cze) 는 몇몇의 싱가포르 국민들은 김정일과 리콴유가 여러 방면에서 비슷하다고 말하며: "찬사를 바라면서 경기장 근처에서 날뛰는" 김정일의 타고난 성향에 관한 그 (리콴유) 의 발언에 많은 사람들은 리콴유 또한 별 다를 게 없다는 점을 넌지시 밝히며 이 발언이 모순적이라고 말할 게 분명합니다. 전 여러분이 그 둘을 구별해주시기를 바랍니다. 리콴유는 그가 "무기력한 늙은이" 라고 불려도 상처받지 않을 거라는 걸 그의 말과 행동을 통해 꾸준히 밝혀왔습니다. 하지만 만약 그를 "무기력한 늙은 편애주의자" 라고 부르면, 당신은 바로 다음 순간 판사의 의사봉 소리를 듣게 될겁니다. 이 블로거는 또한 폭로된 문서들이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에 대한 리콴유의 영향력과 그의 의견이 미국인들에 의해 존중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고 말한다: 위키리크스의 폭로 문서는 많은 싱가포르인들이 믿고있는 설을 확실히 확인시켜준다: 리콴유가 아직도 많은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의 조언은, 우리가 그걸 중요하게 여기던 말던간에, 다른 사람들에 의해 존중되고 있다. 그는 아직도 체 게바라가 남미의 혁명가들에게 그랬듯이, 또는 비스마르크가 나머지 현 유럽 국가들에게 그렇듯이 G8과 브릭 (BRIC) 국가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크리스토퍼 옹은 이런 다른 폭로 문서들이 싱가포르에게 필요한지에 대해 고심한다: 그러나 과연 싱가포르에 관한 미국의 기밀 문서들- 어떤 각도에서 보았던 간에 몇 개의 중요한 기능들의 통합과 타협하는-이 폭로되는 것이과연 위키리크스가 설립된 목적인 가장 기본적인 진실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것일까? 답은 '아니오'다. 싱가포르 코피 톡 (Singapore Kopi Tok) 은 또한 위키리크스의 충격에 대해 평가한다: 어샌지의 폭로가 무책임한 것이었나? 배심원들은 이를 계속 평가하고 있지만, 우리의 상식은 어떤 정보들이 극비로 남을 것인가와 그렇지 않을 것인가 사이엔 선이 있다고 말한다. 변호사와 의뢰인 사이의 정보, 의사와 환자 사이의 정보, 그리고 내부자에 의한 불법적인 주식 매매 행위, 그리고 국가 안보 관련 정보들은 모든 정보가 공개될만한 것은 아니며, 폭로에 관한 처벌이 예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다른 상식적인 예들이다. 사자의 도시에서의 묵상 (Musings from the Lion City) 은 위키리크스에 의해 폭로된 문서들에 별 감명을 받지 않았다. 내부 고발 웹사이트인 위키리크스가 몇 천, 몇 만건의 기밀 문서들을 폭로함에 따라, 오늘은 미 국무부 최후의 날이 되었어야 했어요. 하지만 더 높은 계급의 기밀 문서들을 보면서 전 "이게 끝이야? " 라고 말할 수 밖에 없었죠. 망신을 당한다는 것만 빼고는,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문서들이 뭐가 그렇게 대단한 건지는 아직 잘 모르겠네요. 싱가포르 현지의 트위터 반응들: teddyrised: 왜 위키리크스가 이 기밀 문서들을 위한 희생양이 되어야 하는거죠? 줄리앙 어샌지가 당신들에게 이 말을 하라 시킨것도 아니예요. 당신들이 멍청이같이 자기 입으로 말한 거라구요. senthilnath: RT @sivadayalan: 만약 줄리앙 어샌지가 (미국과 동맹관계가 아닌) 중국과 러시아의 기밀 문서들을 폭로했다면, 줄리앙 어샌지는 노벨상을 탔을수도 있었어. #위키리크스 lYuxiang: 이런 젠장, 왜 내가 튜토리얼을 하는 대신 위키리크스를 읽고 있는거지? abietabilly: RT @pravityo: RT @agungisme: 자기 비밀들도 드러난다는 걸 알기 전에는 모두가 위키리크스를 좋아했는데 말이야ㅋㅋㅋㅋㅋㅋ tuckiesmalls: 어떤 사람들이 위키리크스와 그 배후에 있는 두 멍청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게 놀라워.
0.722656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4
WikiLeaks' Julian Assange: Oz Hero or Villain WikiLeaks' Julian Assange is either a hero or a villain in his home country of Australia. Many people, both here and abroad, are demanding the head of the WikiLeaks founder. Others see him as a peoples' champion. Local bloggers have focused less on the content of the cablegate disclosures and more on ethical issues and possible consequences for effective governance. Club Troppo’s group blog has had two authors posting about the controversy from quite different angles. Ken Parish sees the disclosures so far as both counter-productive and unjustifiable: I couldn’t agree more with FOI expert Peter Timmins about the latest Wikileaks “disclosures”. I have no idea whether Assange is a rapist or not, but he’s certainly succeeded in setting the cause of public sector whistleblowing back by a decade or more. The documents so far disclosed indicate little or no public misfeasance by the US or anyone else, so there is simply no legitimate public interest in their disclosure. Random thoughts and gripes Fellow Club Troppo blogger, Paul Frijters, is concerned for Assange’s welfare and hopes that the leaks will lead to better accountability: Well, they’ve done it again. Queensland-boy Julian Assange and his band of merry journalists and IT-nerds have flooded the internet once again with sensitive information that embarrasses several governments, most notably the US, by releasing the content of several hundred thousand diplomatic cables. Soon Julian Assange will get caught, if not by Interpol which seems to be close to putting out a warrant on him, then by the Australian prosecutors who will want to ‘scrutinise whether he has broken the law’, or else some other Western government. Once he is caught, I predict he will spend the rest of his life in the courts. I’d say Julian Assange is destined for a lifetime of prison food unless he finds a country willing to protect him. Wikileaks should be applauded for its adherence to the ideal of openness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but it has not yet opened up the powerful to truly invasive scrutiny of the bad things some of them get up to. Perhaps that is yet to come. I certainly hope so. Whereto for Wikileaks? Katy Barnett, who blogs as Legal Eagle at Skeptical Lawyer, looks at the legal aspects and then weighs the merits of Julian’s actions: I must confess that I am ambivalent about WikiLeaks, regardless of whether any proceedings are brought against Assange or not. …One has to carefully balance freedom of information with other interests. Disclosing information is not always a good thing. And it’s natural enough that the views a government expresses in private communications differ from the views it expresses publicly (this happens with individuals too: it’s called tact). Wikileaks and the brave new world of freedom of information Lorenzo at Thinking Out Loud believes that the leaks endanger lives and compares them with the famous Daniel Ellsberg’s Pentagon Papers leaks during the Vietnam War: The Wikileaks document dump may well pose dangers for particular individuals. Which is shameful, and an implication of the nastiness of much Middle Eastern politics. But, regardless of what one might think of Julian Assange and his actions, what he has actually revealed is a fairly sane, and fairly well informed, diplomatic world. What the Pentagon Papers have wrought In his post and response to comments at Personal Reflections, a former senior public servant Jim Belshaw joins other commentators in arguing that good governance will be affected in that governments will become more secretive and less candid in private: To my mind, the biggest danger created by wikileaks lies in the nature of likely Government responses. I expect these to, among other things, reduce access to information; to increase the risks and penalties for those who do speak out; and to increase the constipation in Government systems that has already reduced effectiveness. No Government can ignore what has happened. In Australia we have a whole of Government task force addre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leaks. The position in the US is more complicated and dangerous. Mr Assange's ego Luke Miller at Crikey has been posting about what the unreleased Australian cables might contain. His speculations about our government’s attitude to Israel take a twist: …an unfavourable leak in the next few days about Australia’s international dealings could torpedo Australia’s soccer World Cup bid, also dependent on at least one vote from the Middle East, which occurs early next month. No wonder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huffing and puffing. The Canberra cables: next WikiLeaks drop to jeopardise World Cup bid? Since Australia received only one vote at FIFA in its bid for 2022, this claim could easily be accused of being a beat-up as one the comments suggests. Antony Lowenstein is a well known blogger about the Middle East. At the ABC’s Unleashed he questions the mainstream media’s reaction: There is an overly-suspicious attitude towards people like Assange who refuse to play the traditional media game. He’s an outsider with exclusive information. He hasn’t spent years cultivating contacts inside the media tent. And he doesn’t spend most of his free time socialising with political staffers, editors and insiders. …The job of real journalists is not to insulate officials or governments from embarrassment but to investigate legitimate stories relevant to the public interest. Where's the media's backbone over WikiLeaks? At The Punch, Helen Young looks at the difficulties in keeping secrets in the digital age: The latest Wikileaks disaster for the U.S. government may centre on the actions of its diplomats rather than its soldiers, but Cablegate and the Afghan and Iraq War Diary data dumps are all crises of information control and management. The Wiki leaks are not the end of all secrets Gary Sauer-Thompson of Public Opinion echoes Lowenstein’s concerns about the role of the media who are seen still acting as the gatekeepers: What is interesting about the Wikileaks' dumps (the Afghanistan and Iraq war reports plus the diplomatic cable dump) is that the elite news organizations in the Internet age — in this case, The Guardian, NYT and Der Spiege etc —are conduits of material originally obtained not by their own investigative journalists but by others, such as WikiLeaks. …What we have is collaboration by major media organizations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both in agreeing to work together in publishing the material and in agreeing what material should be kept out. It is a new kind of global investigative journalism. WikiLeaks: embassy cables dump For Australia, the best or worst is yet to come unless governments manage to silence Julian Assange for good.
위키리크스의 줄리안 어샌지:호주의 영웅 혹은 악당? 위키리크스(WikiLeaks)의 줄리안 어센지(Julian Assange)는 본국 호주에서 영웅, 혹은 악당으로 평가되고 있다. 호주 국내에 있든 해외에 있든 거주지와는 무관하게 어떤 호주인들은 이 위키리크스 창립자를 요구하고 있으며 (정확한 의미는 원문 참고) 다른 이들은 그를 민중의 투사로 보고 있다. 호주 블로거들은 위키리크스의 내용보다도 이 사건의 윤리적 문제와 효과적인 관리 차원에 있어서 앞으로의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추었다. 켄 페리쉬(Ken Parish)는 위키리크스 폭로가 아직까지는 비건설적이며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위키리크스 폭로에 관해 나는 FOI 전문가 피터 티민(Peter Timmins)의 의견에 완전히 동의하는 입장이다. 나는 어샌지가 강간범인지 아닌 지 전혀 알고 있는 바가 없지만 그는 확실히 공공부문 내부 고발의 명분을 십년 전 상태로 돌려놓는 일에 성공했다. (명확한 의미를 위해 원문 참고) 지금까지 폭로된 문건들은 공공부문에 있어서 미국과 다른 이들에 의해 자행된 불법 행위에 있어서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폭로에 대해 국민들의 관심이 희박한게 당연한 일이 되어버렸다. 여러 생각들과 고민들(:링크연결) 같은 사이트의 폴 프리지터스(Paul Frijters)는 어샌지의 안위에 대해서 우려를 표하며 위키리크스 폭로가 신뢰성 회복에 도움을 주기를 빌었다: 응, 또 한 건 했네. 퀸즈랜드 출신 줄리안 어샌지와 그의 옆의 기자들 그리고 IT 범생이들이 다시 한 번 예민한 정보들로 인터넷을 범람시켰어. 이 정보들은 수 만건의 외교 문건을 배출하여 여러 정부들을, 특히 미국 정부를 곤란에 빠트렸지. 줄리안 어샌지는 곧 잡힐 거야. 인터폴에 의해, 혹은 호주 검사들 손에, 아니면 다른 서방 정부 손에. 인터폴은 (체포) 영장을 받기 거의 직전인 듯 하고, 호주 검사들은 '그가 법을 어겼는지 여부를 직접 정밀조사 하고 싶어하지. 일단 그가 잡히면, 아마 종신형이 내려지게 될 것 같아. 글쎄 내가 보기엔 줄리안 어샌지는 일 평생을 감옥에 썩어야 할 운명을 갖고 있다고 봐- 적어도 그가 그를 보호해줄 나라를 찾기 전에는 말이야. 위키리크스가 정부의 신뢰성 문제와 정보 개방의 이상적인 상태에 끈질기게 매달렸다는 점은 박수 받아 마땅한 일이야. 그러나 그것은 아직까지 힘센 이들의 나쁜 내용에 대해 진정한 진위 판단을 끈질기게 하지는 않았어. 아마 나중에 공개될 지도 몰라. 아니, 꼭 그랬으면좋겠어. 위키리크스는 어디로 가고 있나? 케이티 바넷(Katy Barnett)은 Skeptical Lawyer에서 Legal Eagle란 아이디로 블로깅을 하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위키리크스에 대해서 두 가지 입장을 모두 갖고 있다. 어샌지에 대해서 어떤 내용에 더 밝혀지든 상관없이. …우리는 신중하게 정보의 자유와 다른 가치들 간의 균형을 잘 조절해야 한다. 정보를 폭로 한다는 것이 마냥 좋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대외적으로 발표하는 공식적 입장과 사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이 다른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런 행동이 개인에게 발견되면 우리는 이를 '약삭바르다'라고 부르지) 위키리크스와 정보 자유로의 용감한 새 세상. Thinking Out Loud 싸이트의 로렌조 (Lorenzo)는 위키리크스의 폭로가 개인들의 목숨을 위태롭게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베트남전(戰) 당시 유명했던 다니엘 엘스버그(Daniel Ellsberg)의 '팬타콘 페이퍼' 사건에 비교했다: 위키리크스 문건 폭탄은 특정 개인을 위험에 노출시킵니다. 이건 분명히 부끄러운일이며 중동 지역 정치의 더러움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줄리안 어샌지와 그의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든 간에, 그의 폭로한 것은 상당히 정상적인 외교 세계의 자세하고도 실제적인 모습입니다. 펜타곤 페이퍼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그는 Personal Reflections 싸이트의 그의 포스팅과 댓글의 답변에서, 전(前) 공공 부문 고위 관리인 짐 벨쇼(Jim Belshaw)는 정부가 사적으로 더 비밀스러워 지고 덜 솔직해 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다른 이들과 의견을 함께 했다: 내가 보건데 위키리크스가 가져온 가장 큰 위험은 정부의 반응에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정보에 대한 접근 허용이 줄어들 것이고, 자기 의견을 내는 사람에 대한 처벌과 위험이 높아질 것이며, 이미 효율성 없는 정부 시스템이 더 정체될 것으로 본다. 어떤 정부도 이 일이 벌어진 것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호주 정부는 전담 테스크 포스를 구성해 이 누출 사건을 담당하도록 했다. 미국 입장은 우리 보다 더 복잡하고 위험할 것이다. 어샌지의 에고(ego) Crikey의 루크 밀러(Luke Miller)는 누설된 호주 문건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에 대해 포스팅했다. 이스라엘에 대한 호주 정부에 대한 그의 예상에는 스토리의 반전이 있었다: …며칠 후 (정부에 대해) 우호적이지 못한 특정 정보의 누출은 호주의 월드컵 유치를 날려버릴 수 있다. 다음 달 초에 발표될 월드컵 유치 절차 중 중동 지역이 한 표를 행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왜 호주 정부가 버럭하고, 씩씩거리는 지 충분히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다음 위키리크스(문서)가 될 캔베라 문서 유출은 호주의 월드컵 유치 건를 위험에 빠트릴 것 인가? (이후) 호주는 2022년 월드컵 유치 경쟁에서 오직 한 표만을 얻었다. 이는 어떤 댓글이 말한 대로 이 주장은 한 물간 내용이라는데 비난에 힘을 실어준다. 중동 지역 주제에 관해서 유명한 블로거인 앤토니 로웬스타인(Antony Lowenstein)은 ABC’s Unleashed에서 주류 언론 반응에 의문을 표했다: 어샌지 같이 전통적 언론 플레이를 거부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과도한 의구심을 표하는 태도가 보인다. 그는 엄청난 정보를 가진 아웃사이더 이다. 그는 미디어 범위 안에서 정보 출처를 구축하려고 몇 년간 애를 쓰지 않았으며 (여타 저널리스트 처럼) 자유시간을 정치인들과 내부 관계자, 에디터들과 어울리는데 사용하지 않았다. …진정한 저널리스트의 일은 정부나 관계자들을 당혹스럽게 하는 상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아닌,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사안을 탐구하는 일일 것이다. 위키리크스에 있어서 (기존)미디어의 등뼈(:자존심)는 어디 있는가? The Punch 에서 헬렌 영(Helen Young)은 디지털 시대에서 비밀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밝혔다: 미국 정부에 임한 최근 위키리크스 재앙은 미 군인의 행동보다도 외교관들의 행동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사태와 더불어 아프칸-이라크 전쟁 일지 정보 유출은 정보 통제와 관리에 있어서 위기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위키리크스가 모든 비밀의 종결점은 아니다. Public Opinion의 게리 사우어-톰슨(Gary Sauer-Thompson)은 아직도 기존 언론이 게이트 키퍼(무엇이 이슈가 될 지를 거르는)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 있어 로렌스타인과 우려를 함께 했다: 위키리크스 폭로 폭탄(아프칸, 이라크 전쟁 리포트와 외교 문서 폭로)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엘리트 뉴스 기업(가디언, 뉴욕타임즈, 슈피겔 등)이 인터넷 시대에 있어서 스스로 탐사 보도 기자가 마련한 자료를 통해 기사를 쓴 것이 아닌 타사의 자료(위키리크스 등)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우리가 지금 보는 것은 메이저 언론사들이- 어떤 내용을 보도할 것인지 어떤 내용을 뺄 것인지를 서로 의논하여 결정하는- 국경을 넘어선 협력이다. 이것은 분명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탐사 저널리즘이겠다. 위키리크스: 대사관 문건 유출 정부가 줄리안 어샌지를 입막음 하지 않는 한, 호주는 아직 최선이든 최악이든, (아주 극단적인) 상황에는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0.821289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5
The Sad Fate of Russia's "YouTube Cops" It's not that corruption in the Russian police was unknown before Dymovskiy's video. It was the medium he chose for telling this open secret that attracted so much attention. The full disclosure of the identity of the messenger was an essential part of the message, and it introduced a new form of citizen-to-government public communication: an online video address to the president or prime minister. Sadly, the online activity of the 'YouTube cops' has not yet changed things for the better. Quite to the contrary: many of the most notorious of these newborn "video-bloggers" have been prosecuted. Serious personal consequences Alexey Dymovskiy became the first victim of his own initiative. On December 29, 2009 a criminal case against him was initiated. He was accused of fraud and misuse of authority. At the same time, the police investigation unit didn't find any evidence of the crimes he spoke about in his video address. On January 22, 2010 Dymovskiy was arrested and spent almost 1,5 months in jail until he was released on March 7. On March 23, 2010 Krasnodar city court ruled that Dymovskiy was guilty of libel against his former bosses and obliged him to pay an overall compensation fee of $3000. On February 21, 2010, Vadim Karastelyov, a non-governmental activist and supporter of Dymovskiy, was detained for seven days for organizing a support rally for Dymovskiy that was not endorsed by the local authorities. Immediately after his release Karastelyov was assaulted at the door of his home and beaten. More still adding their voices Public opinion on the 'YouTube cops' is divided. After the initial chaotic support for their cause, some liberal journalists claimed that Dymovskiy was involved in a number crimes himself, and that he had no right to accuse the police of corruption. There is plenty of evidence to suggest that mostly every YouTube cop has been involved in some kind of suspicious activity in the course of their career. Although accusations against Dymovskiy and others still stand, the furious reaction of the police chiefs, and the considerable risks taken by the video makers, is one kind of evidence that what they say is true. In all cases, the police commanders have focused on eliminating the sources of the 'public leakage' rather than attempting to make changes (the police reform introduced at the end of 2009 can hardly be considered an actual change). The story of 'YouTube cops' vividly shows how Russian law enforcement structures react to the attempts of online whistle-blowers. Dymovskiy and his followers have not experienced the same glorious fate of Frank Serpico, a New York policeman who testified against city corruption. Unlike Serpiko, Dymovskiy has not received any awards, and his story has not been turned into a Hollywood movie (other than the movie he made himself, of course). So far, he and his supporters have been persecuted, marginalized, and their claims were ignored. The fact that they use digital technology doesn't mean Dymovskiy or any of those who followed in his footsteps are saints, but it definitely brings forward a point of view that otherwise would be silenced. A year and a half after having been authorized to resume flights to Portugal, the Angolan airline TAAG, is again involved in se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safety of its planes. Yesterday, December 6, a little after having taken off from Lisbon's Portela Airport, passengers and crew that were aboard the Boeing 777 to Luanda heard a noise and intense vibration caused by a number of parts that came loose from the engine of the airplane. The parts fell on the streets of the town of Almada, causing some physical damage and injuring two but not seriously. There was no need to wait for the reaction of bloggers, faced with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The Pululu blog read:
러시아: 러시아 "유튜브 경찰들"의 슬픈 운명 디모브스키의 비디오가 올라오기 전에 러시아 경찰의 부패가 알려지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다. 이 사안이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된 이유는 그가 이 '공공연한 비밀' 을 알리기 위해 택했던 방법(매개체)이었다. 정보원의 신변이 완벽히 드러난 것이 이 메시지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이로써 대통령이나 총리를 향한 온라인 비디오 청원이라는 시민들과 정부 사이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소개된 것이다. 슬프게도, "유튜브 경찰관들"의 온라인 활동이 상황을 좋은 쪽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오히려 이 새로운 "비디오 블로거들" 중 가장 악명높았던 사람들의 상당수는 기소당했다. 심각한 개인적 여파 알렉세이 디모브스키는 그의 솔선수범으로 인해 가장 먼저 피해를 보았다. 2009년 12월 29일, 그는 사기죄와 공권력 남용죄로 기소당했다. 동시에 경찰 수사병력들은 알렉세이의 비디오 연설에서 그가 저질렸다는 범행들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1월 22일 디모브스키는 구속되었고 3월 7일 풀려나기까지 거의 1달 반을 감옥에서 보냈다. 2010년 3월 23일, 크라스노다르 시 법원은 디모브스키에게 전 상관들의 명예훼손죄 보상금으로 3000달러를 내도록 명령했다. 2010년 2월 21일, 디모브스키의 지지자이자 비정부 운동가인 바딤 카라스텔요브가 지역 관료들의 승인을 받지 않은 디모브스키 지지 집회를 열었다는 이유로 7일동안 억류되었다 . 그가 석방되자마자 카라스텔요브는 그의 집 문가에서 습격당해 폭행당했다. 그들의 목소리에 동참하는 사람들 "유튜브 경찰들" 에 대한 여론은 분열되어 있는 상태다. 그 원인에 대한 초기의 광적인 지지 후에, 몇몇의 진보적 언론인들은 디모브스키 자신도 몇 개의 범죄에 연루되어있으며, 경찰의 부패를 비난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 사실 거의 모든 유튜브 경찰들이 그들의 공직 생활 동안 어떤 의심스러운 활동에 참여했다는 증거는 충분하다. 디모브스키와 다른 이들에 대한 비난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경찰청장들의 분노에 찬 반응과 비디오를 녹화한 사람들이 감당해야 했던 엄청난 위험은 그들의 주장이 사실이란 것을 입증하는 하나의 증거다. 모든 사건에서, 경찰 수뇌부는 변화를 일으키기 보다는 '정보 유출' 의 근원지를 없애는 것에 주력했다 (2009년 말에 시행된 경찰 개혁은 사실 변화라고 치기도 어렵다). 유튜브 경찰들의 이야기는 러시아 법 집행부가 온라인 내부 고발자들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여지없이 보여준다. 디모브스키와 그의 추종자들은 도시의 부패에 맞서 증언했던 뉴욕의 경찰관 프랭크 세르피코와 같은 영광적인 순간을 맞지 못했다. 세르피코와는 다르게, 디모브스키는 어떠한 상도 받지 못했고, 그의 이야기가 할리우드 영화로 만들어지지도 않았다 (물론 그가 직접 제작한 영상을 빼고서는 말이다). 현재까지, 그와 그의 지지자들은 박해당했고, 과소평가당했으며, 그들의 주장도 무시당했다. 포르투갈로의 운항이 재개된 지 불과 1년 반 만에 앙골라 항공 TAAG의 항공기 결함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2월 6일, 리스본 포르텔라 공항을 떠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앙골라 수도 루안다행 보잉777내 승객과 승무원들은 소음과 진동을 느꼈다. 알마다 주민 2명은 하늘에서 떨어진 부품들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 누리꾼들은 지체 없이 사태의 심각성을 인터넷에 경고했다. 블로그 Pululu에는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0.856445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6
Zambia: I Blog to Remind Zambians Who They Are Mwata Chisha is a Zambian blogger bas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is blog is called Cultural Intelligence: Philosophies and Personal Opinions of Mwata Chisha. Chisha, an avid contributor on cultural,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on one online forum where I first met him, uses his blog, among other things, to analyse statements and actions of political leaders on a “rational—irrational” scale. One article that got the “Irrational thinker of the Week” label was in early August 2010 when the controversial National Constitutional Conference (NCC) of Zambia distributed the draft constitution for public scrutiny. However, an official of an opposition political party which refused to sit on the NCC, publicly tore the document. This act drew condemnation from NCC supporters including the government. A story in the Times of Zambia ran thus: “The National Constitutional Conference (NCC) has said the conduct of Patriotic Front (PF) deputy national secretary Samuel Mukupa to tear the Draft Constitution at a political rally is an insult to the many Zambians who have made submissions including Parliament.” Analysing the story section by section, Chisha asks, "How does an expression of disagreement turn into an insult? If indeed it is an insult, what is the nature of the insult?" On NCC spokesperson Mwangala Zaloumis following statement “Zambians have been making submissions to the Draft Constitution and huge resources have been spent on this very important document therefore it would be wrong for people to politicise the process.” Chisha states, "I thought the constitution itself was a political product. How does one politicize something that is already politicized?” On Mwangala's argument that since the NCC was a cre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t was wrong for an opposition leader to deal with the draft constitution in the manner he did, Chisha pointed out that: “A creation of National Assembly or not, nothing prevents one from expressing disagreement with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as it stood.” US-based Zambian blogger Mwata Chisha I recently caught up with Chisha and interviewed him about his interest in blogging. 1. Let me start by saying, I only write about that which I care about. I care about Zambians. Saying that I am honest to myself with every piece I put out. However, I am not married to the content. I am willing and ready to learn from the responses that my pieces generate. I started blogging by contributing to Zambia Online. The few posts that I wrote stimulated comments from many Zambian brainiacs who graced Zambia Online. This motivated me to take blogging seriously. Another thing was the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among political figures in Zambia. These are supposed to constitute Zambia's best public image but their ability to process and analyse information in a public discourse leaves a lot to be desired. It was the lack of quality analyses that made me want to start a repository of my thoughts and philosophies. 2. What is the daily/weekly readership of your blog? I don't pay attention to traffic at this time. Up until last year, I had not publicized my blog although it has been up since 2007. A couple hundred hits a week would not be a stretch. 3. How did you get involved in blogging? Were you inspired by (an)other blogger(s)? Like I mentioned in question #1, I interacted with a number of Zambian thinkers on Zambia online. That blog is quite busy. It is not easy to present a thought on it and have it attract more of its kind and move it to refinement or better still enrich the contributors. I started a blog to focus on the issues affecting Zambians from a thinking dimension. In our world today it is easy to get caught up in the mires of senseless politics. That is what most people have done. They are swept up in the thoughtlessness of the moment. From where I stand, this opens a room for other people to define them. Further, it opens up avenues to influence the greater population. Because, whether we believe it or not, this information we share online filters through. And the loss that the nation incurs, which include, among other things, culture, self respect and dignity, is hard to recover. In short, my inspiration comes from Zambians' willingness to cede control, their failure to assert themselves in matters that really matter to the future of Zambia. 4. What, in your view, is the future of blogging in particular and citizen journalism in general in Zambia? You can count on Zambians to embrace technology. You can also count on them to learn new ways of transmitting thoughts. Blogging, as a form of citizen journalism, will grow and metamorphose as more people gain access to high speed Internet, master new tools of communication and become digital literate. Competition will get tight. That is the least of my concerns. My concernt is the quality of what is being transmitted on the Internet. Most of what we are sharing is done so in haste, not enough thought and time put to it. In fact most of what we share online is not local content, we share foreign ideas and Western worldview at the expense of Zambia and Zambians. Our culture is in intensive care unit because of Zambians' insatiable quest for all things western. My blog is about reminding us about who we are. 5. What do you think of government's proposal to control the media through statutory means? Would this increase blogging since anyone with the means can blog? The government is trying hard, as it has done in the past, to gag the masses. It should be plain to all that our leaders are insecure that is why they are pushing for statutory regulation. If the people holding office were assigned to portfolios that they had expertise in, they would welcome comments from all stakeholders. But what they ought to know is, the more they use state force to restrain people from airing their frustrations, the more people would seek alternatives. As long as individuals in government continue to believe government is a club whose sole purpose is to serve the interests of the members, they will continue to lose the confidence of the people. 6. Would blogging contribute to national development by people writing about their achievements which are normally ignored by the mainstream media? There is an avalanche of information flowing from all sources. Some good and some not so good. But one would be deluding oneself if one thought that effective solutions would be delivered to them in a golden package and silver ribbon by FEDEX. Until we have people of conscience in office, individuals who are selfless and truly concerned about the status and condition of Zambia, I am afraid the information will continue to go to waste. 7. What is the outlook for Africa, which is usually seen through the Western prism? Africa is the last frontier in anything one can think of. The earlier we Africans get this in our heads, the better for the rest of mankind. Remember, it all started in Africa and once Africa is destroyed that will be it for the human race. The west sees Africa as the source of raw material whose people don't know its values. It is unfortunate that this thought is shared by both the East and the West and Africa is caught in the middle, poor and defenseless, and more importantly thoughtless. 8. We will appreciate a brief bio about yourself: where you blog from and what you are doing at the moment. I am a natural man, a husband, a father, an uncle, a brother, and a friend, temporarily stationed in the USA. I am a college faculty members and facilitate learning in Economics, Sustainable Development, Business, Planning, and Public Administration.
잠비아 : 내가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므와타 치샤는 미국에 거주중인 잠비아인 블로거이다. 그는 ‘문화적 지능: 므와타 치샤의 사상과 개인적 견해’라는 제목의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나는 치샤를 온라인 포럼에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그는 그 포럼에서 문화적, 역사적 그리고 철학적 이슈에 관해 열띤 토론을 벌이는 이들 중 한 명이었다. 정치인들의 발언과 활동이 얼마나 합리적인 가를 분석하는 것이 그가 블로그를 운영하는 주된 이유라고 말한다. “이 주의 합리적 사상가” 주제의 태그를 달은 기사들 중 한 기사를 말해 보자. 2010년 8월, 잠비아의 국헌회(NCC)가 국민들이 철저히 검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국헌 초안을 배포했을 때의 일을 다룬 기사다. 국헌회 배포 후 한 반대당 의원이 국헌회의에 참석할 것을 거부하며 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문서를 갈기갈기 찢었고 이는 정부를 비롯한 국헌회 지지자들의 비난을 샀다. Times of Zambia에 실린 관련 기사는 다음과 같았다: “국헌회는 국민대회에서 국헌 초안을 찢은 국무차관 사뮤엘 무쿠파(Samuel Mukupa)의 행위에 대해 국회를 포함한 잠비아 국민들에 대한 모독이라고 지칭했다. 기사를 한 문단 한 문단 분석하면서 치샤는 묻는다, “의견차를 표출하는 것이 어떻게 모독으로 둔갑한 것이며 만약 이 행위가 진정 모독이었다면 도대체 어떤 식의 모독이었다는 걸까요? 국헌회 대변인 망갈라 잘로미스(Mwangala Zaloumis)는 “잠비아 국민들은 이 국헌 초안에 동의해왔고 또한 우리는 이 중요한 문서를 완성시키는 데에 엄청난 자원을 쏟아 부어왔습니다. 그것이 바로 이를 통과시키는 절차를 정치화시키는 것이 잘못된 이유입니다. “국헌 자체가 정치적인 결과물인데 이미 정치화 된 것을 어떻게 정치화 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 ” 망갈라는 국헌회가 국회의 부속인 만큼 반대당의 대표가 그런 식으로 국헌을 취급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치샤는 이렇게 말한다. 그게 바로 국헌 자체에 명시된 내용이기도 하고 말이다. 1. 언제부터 그리고 왜 블로깅을 시작했나요? 또한 타깃으로 삼는 독자층이 있다면요? 먼저 말씀드릴 것은 나는 내가 진정으로 관심을 가지는 주제에 대해서만 기사를 쓴다는 거예요. 그 예로는 잠비아가 있죠. 그리고 나는 항상 내가 느끼는 그대로 진솔한 기사만을 씁니다. Zambia Online에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블로그를 시작했어요. 제가 쓴 기사에 Zambia Online을 빛내준 많은 잠비아 지식인들의 코멘트가 달렸죠. 이는 블로그 운영을 진지하게 시작한 동기부여가 됐어요. 또 다른 이유는 잠비아 정치인들이 소통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데에 있었어요. 그들은 잠비아에서 가장 표본이 되어야 할 인물들인데도 불구하고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수준을 보면 능력이 부족하다는 게 보이죠. 질 좋은 분석이 없었기 때문에 저만의 생각과 철학을 저장해두는 창고를 만들고 싶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2. 매일/매주 블로그 방문자 수는 어느 정도 되나요? 지금은 블로그 방문자 수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요. 2007년부터 시작했지만 작년까지도 홍보를 하지 않았었거든요. 주당 200명 정도 들어온다고 하면 대충 맞을 거예요. 3. 블로그를 어떻게 처음 시작하게 됐죠? 다른 블로거들에게 영향을 받았나요? 첫 번째 질문에도 대답했지만 Zambia Online에서 여러 잠비아 지식인들과 소통했었어요. 그 웹사이트는 꽤 혼잡해요. 제 생각을 포스팅 한 뒤에 거기에 비슷한 의견의 글이 올라와서 거기서 더 발전을 하기를 기대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에요. 생각의 측면에서 잠비아 국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블로그를 시작했어요. 요즘 시대에는 무분별한 정치적 진흙탕 싸움에 말려드는 일이 비일비재하죠. 거의 모든 이들이 그래왔고요. 순간의 무의식에 휩쓸리는 거예요. 제 입장에서 볼 때 이 블로그는 국민들이 정치인들을 정의 내릴 수 있는 공간을 열어두는 겁니다. 나아가 더 많은 국민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기도 하고요. 왜냐하면 우리가 믿건 믿지 않건 간에 온라인에서 우리가 공유하는 정보는 서서히 알려지게 마련이거든요. 문화, 자존심 그리고 존엄성과같이 잠비아가 맞닥트리는 손실은 회복되기 힘들어요. 짧게 말하면 제게 영감을 준 것은 잠비아 국민들이 지배권을 양도해버린 것 그리고 잠비아의 미래에 직결되는 문제들에 관해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4. 치샤씨가 생각하는 잠비아의 블로그들과 시민 저널리즘의 미래는 어떠한가요? 잠비아인들이 기술을 받아들일 것이라는 것은 믿어도 되는 사실입니다. 그들이 생각을 전달하는 새로운 방식을 배울 것이라는 것도 마찬가지이죠. 좀 더 많은 이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새로운 소통의 도구를 다루는 방법을 완벽히 익히고 또 디지털 방식에 익숙해진다면 시민저널리즘의 한 형태인 블로깅은 점점 커지고 천천히 변화할겁니다. 경쟁은 치열해지겠죠.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별로 걱정하지 않아요. 제가 진정으로 걱정하는 부분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정보의 질적 수준이에요. 우리가 공유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충분한 생각과 시간이 주어지지 않은 채 빠르게 공유되고 있어요. 사실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것들의 대부분은 잠비아 지역의 콘텐츠가 아니에요. 잠비아와 잠비아인들이 희생해가면서 외부에서 들어온 생각과 서양의 세계관을 인터넷으로 공유하고 있죠. 잠비아인들의 채울래야 채울 수 없는 서양 것들에 대한 갈망 때문에 우리의 문화가 위협받고 있어요. 제 블로그는 우리가 누군지에 대해 각인시키려는 노력입니다. 5. 정부가 언론통제 법안을 제안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때문에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 더 늘어날 거라고 보시나요? 정부는 과거에도 그래왔듯 여전히 국민들의 입을 막으려 노력하고 있어요. 잠비아 정치인들이 이토록 법적인 규제를 원하는 것이 그들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라는 것은 모두들 아는 사실입니다. 그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그들이 국민들이 언론을 통해 불만을 토로하는 것을 국가적 힘으로 막으려고 하면 할수록 국민들은 계속해서 대안을 찾아낼 것이라는 거예요. 정부 고위직들이 계속해서 정부를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클럽으로 취급하는 한 그들은 국민들의 신임을 잃어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블로깅을 통해 사람들이 주요 언론사들에 의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는 성과에 대해 글을 쓰게 되면 그 것이 결국 국가의 발전에 기여할거라고 믿으시나요? 정보는 여기저기서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어요. 몇몇은 믿을만하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죠. 그렇지만 만약 효과적인 대책들이 예쁘게 포장된 상자에 페덱스로 우리에게 배달될 거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아주 큰 착각이죠. 양심적이고 이타적이며 잠비아가 처한 상황에 진심으로 염려하는 이들이 나라를 이끌어가지 않는 이상 그러한 정보들은 버려질 것이라 우려됩니다. 7. 흔히 서양의 관점에서 보는 잠비아의 앞날에 대한 전망은 어떠한가요? 아프리카는 모든 이슈에 있어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한계선이죠. 우리가 이러한 것들을 더 빨리 알아챈다면 그것은 결국 인류에게 좋은 일이 될 겁니다. 모든 것은 아프리카에서 시작됐죠 그러니 아프리카가 파괴된다면 그것은 인류에게도 마지막일 겁니다. 서양은 아프리카를 원자재가 풍부하지만 그 가치를 모르는 이들이 사는 곳이라 치부해요. 아프리카는 그 중간 어딘가에 가난한 무방비상태로, 무엇보다도 생각이 없는 채로 갇혀있죠. 8. 본인에 대해 짧게 요약해 주신다면요? 나는 평범한 사람이에요. 남편이며, 아버지이며, 삼촌, 오빠이자 친구인 사람입니다. 현재는 미국에 살고있어요. 대학에서 경제학, 지속가능한 개발, 비즈니스, 기획과 행정을 가르칩니다.
0.812988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37

Preprocessing En-Ko subset of Parallel Sentences Datasets

  • 해외에서 제작된 많은 대규모 번역 쌍 데이터들이 영어 텍스트와 한국어 텍스트를 문장 단위로 분리한 후 기계적으로 매핑시키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전혀 엉뚱한 문장이 번역 쌍으로 매칭되어 있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임베딩 유사도 기반 전처리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이 데이터 셋을 제작했습니다.
  • 일부 데이터는 상업적 사용이 어려운 라이선스가 적용된 경우가 있습니다.

데이터 목록

유사도 측정

  • BAAI/BGE-m3로 임베딩
  • 영어 문장과 한국어 문장의 유사도 계산

활용 예시

  • 유사도가 0.65~0.7 이상인 데이터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일부 사례에서는 추가적인 전처리를 통해 정확한 번역 쌍을 되찾거나, 문서 단위로 번역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Global-Voice처럼).

데이터 상세 및 전처리 내역

  • parallel-sentences-europarl
    • 수집하지 않음(한국어 데이터 없음)
  • parallel-sentences-global-voices
    • 특징
      • Global voice에서 수집된 글로벌 뉴스 기사(문장 단위 매칭) 데이터
      • 문장 단위 매칭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음(밀려서 매칭되는 현상)
      • 기사 내용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수 존재
      • 상세: J. Tiedemann, 2012, Parallel Data, Tools and Interfaces in OPUS. In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2012)
    • 전처리
      • 기사 단위로 병합
      • 영어 데이터에만 있는 "· Global Voice" 제거
  • parallel-sentences-muse
    • 특징
      • 단어 번역 데이터
    • 전처리
      • 유사도 측정이 무의미하므로, 전부 1.0 입력
  • parallel-sentences-jw300
    • 특징
      • 문장 단위 매칭 데이터
      • 문장 단위 매칭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음(밀려서 매칭되는 현상)
      • 한국어 띄어쓰기 이상함
      • 기사 단위 분리 어려움
    • 전처리
      • "\u200b" 제거
      • quickspacer를 이용해 띄어쓰기 교정
  • parallel-sentences-news-commentary
    • 수집하지 않음(한국어 데이터 없음)
  • parallel-sentences-opensubtitles
    • 수집하지 않음(번역 쌍 매칭이 안됨)
  • parallel-sentences-talks
    • 제공하지 않음
      • TED Talks Usage Policy에 따라, similarity를 추가하거나, 큐레이션하는 것은 원본 데이터를 변형시키는 행위라고 생각되어 공유하지 않습니다.
      • 혹시 제가 라이선스와 관련해서 잘못 알고 있다면 알려주세요.
    • 특징
      • TED 강연에 대한 영어 자막 + 한국어 자막
      • 상당히 좋은 전문 분야+구어체 데이터 셋입니다. 번역 쌍 매칭 정확도도 평균적으로 높긴 한데, 그래도 임베딩 유사도 기반 전처리를 하고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sentence-transformers/parallel-sentences-talks
  • parallel-sentences-tatoeba
    • 특징
      • 주로 구어체로 이루어진, 사람이 번역한 문장 번역 쌍
      • 동일한 문장에 대한 2가지 이상의 번역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음(모두 옳은 번역)
    • 별도의 전처리 하지 않음
  • parallel-sentences-wikimatrix
    • 수집하지 않음(저퀄리티)
  • parallel-sentences-wikititles
    • 특징
      • 단어 번역 데이터(위키피디아 제목)
    • 전처리
      • "(동음이의)", "(disambiguation)" 제거
      • 유사도 측정이 무의미하므로, 전부 1.0 입력
  • parallel-sentences-ccmatrix
    • 수집하지 않음(대용량)
    • 평균 퀄리티는 낮지만, 데이터의 양(19.4M 번역 쌍)이 많아 좋은 번역 쌍도 많이 존재합니다. 추후 전처리 시도해보겠습니다.
Downloads last month
36
Edit dataset card